인류사

상기내용을 모두 옳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우리역사를 찾아내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시물 검색
전체 529건 1 페이지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고구려에서 전해 내려온 천문도를 바탕으로 1395년 조선 태조 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병자호란 때 불타버린 경복궁 안에 그러한 천문도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모르다가 영조 때 불타버린 경복궁터에서 다시 발견되었고 지금은 덕수궁 궁중유물전시관에 있다. 1. 이름의 뜻 천상(天象) : 하늘의 모습이란 뜻이다. 옛날에는 하늘에 해, 달, 다섯행성, 별, 혜성, 별똥별, 은하수정도만 있다고 여겼다. 열차(列次) : 차에 따라 벌여 놓았다라는 뜻이다. ‘차’는 하늘의 적도부근을 세로로 열두 구역으로 나눈 단위이다. 세성의 위치는 해마다 다르며 12년을 주기로 제자리로 돌아온다. 세성(歲星)이 보이는 곳을 기준으로 천구의 적도를 열두 구역으로 나누고 그 영역을 차라고 불렀다.  12차에는 수성, 대화, 석목, 성기, 현효, 취자, 강루, 대량, 실침, 순수, 순화, 순미가 있었습니다. 각각의 차는 전해져 내려오는 유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수성과 취자를 보겠습니다. *수성(壽星) : 3월에 보이는 별자리로 이루어져있다. 3월은 만물이 땅에서 나오는 때이므로, 봄기운이 퍼져 만물의 목숨이 시작되는 별자리라는 뜻으로 수성이라고 했다.(3월) *취자(娶訾) : 한탄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음기가 비로소 왕성해지므로 만물이 제 빛을 잃고 양기가 없음을 한탄하는 것이다.(10월) *대량(大梁) : 8월에는 처음으로 흰 이슬이 내려 만물이 딱딱해지므로 대량이라고 했다. (8월) 분야(分野) : 봉건 제도가 시행되던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에도 땅처럼 9주가 있고, 옥황상제가 다스리는 경기 지방이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하늘의 회전축인 부극성과 그 두리의 별을 옥황상제가 직접 다스리는 경기 지방으로 보았고, 하늘의 적도 지방은 제후가 다스리는 제후국가로 보았다. 이러한 생각을 분야설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사람도 나라의 땅을 별자리에 배정했다. 지도(之圖) : 여기서 지도란 ‘~의 그림이나 도면’이란 뜻으로 땅 위의 지형과 지물을 축소하여 그린 그림인 지도(地圖)와는 의미가 다르다.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우리말로 해석하면 ‘하늘의 모습을 차에 따라 늘어 놓은 그림’이 된다.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보면 28수의 별자리를 볼 수 있고 이것을 일곱 개씩 넷으로 나누어 봄.여름 . 가을 . 겨울. 겨울과 동, 서, 남, 북에 배정했다. 네 방위에 있는 별자리를 모아 사방칠사라 하였다. 동방 청룡(靑龍) 북방 현무(玄武) 서방 백호(白毫) 남장 주작(朱雀) 이 상상의 동물들은 각각의 하늘을 지키는 신령스런 동물로 여겨졌다. 3원(垣) 북쪽 하늘에서 보이는 별은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이라는 3원으로 하늘을 나누었다. 자미원(紫微垣) : 북극성을 옥황상제라고 생각해서, 그 주변을 임금이 사는 궁궐이라는 뜻으로 자미궁이라고 여겼다. 자미궁의 담을 자미원이라고 불렀는데, 자미원에 있는 별은 궁궐을 지키는 장군과 신하라고 생각했다. 궁중에 해당하는 별자리들이 있었다. 자미원안에 있는 별자리를 보면 북극오성이라는 옥황상제와 가족이 모인 별자리가 있다. 북극 오성의 첫째 별은 달을 주관하며, 태자를 나타낸다. 둘째별은 가장 밝아서 임금별인 태일별이라고도 여겼고, 해를 주관한다. 셋째 별은 다섯행성을 주관하며, 서자를 나타내고 넷째 별은 후궁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별은 하늘의 회전축인 천추성이다. 태미원(太微垣) : 자미원에서 북두칠성 아래 봄철 별자리 쪽으로 내려오면, 하늘 나라 임금이 대신들과 나랏일을 상의하는, 하늘 나라 정부종합청사격인 태미원이 있다. 태미원은 여러 장수가 에워싸고 지키고 있으며, 서양 별자리로는 사자자리 레굴루스와 목동자리 아크투루스 사이에 있다. 태미원은 왼쪽담인 좌원장과 오른쪽 담인 우원장으로 둘러싸여있다. 두담이 남쪽에서 만나는데 , 그사이에 태미원의 문으로 단문이라고 일컫는다. 단문을 이루는 두별을 집법이라고 부른다. 왼쪽별은 좌집법으로 정위라는 벼슬아치이고, 오른쪽 별은 우집법으로 어사대부이다. 태미원과 그 안에 있는 별자리를 옥황상제와 하늘나라 대신이 정무를 보는 관청으로 생각한 까닭은 이 구역이 달과 행성이 지나다니는 길목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천시원(天市垣) : 그 옆에는 일반 백성이 사는 하늘 나라 도시 천시원이 있다. 천시원은 서양 별자리로는 직녀성인 백조자리의 베가와 궁수자리, 전갈자리, 아크투루스, 왕관자리 등으로 에워싸인 구역에 있다. 천시원에는 수레가게 별자리 거사가 있고 천시원 왼쪽담에는 하늘나라 푸줏간, 도사라는 별자리가 있다. 천시원 한가운데에는 측후관별 후성과 임금자리별 제좌성이있다.  서양별자리와 비슷하게 동양별자리에도 각각 명칭이 붙고 거기에 얽힌 여러 설화들이 있으며 견우와 직녀 설화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8-24 조회 3424
  • 문화원형백과 한국천문 우리하늘 우리별자리
    출처제공처 정보문화원형백과 한국천문 우리하늘 우리별자리 2003.출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문화콘텐츠산업 기반조성을 위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주도하에 10여 년(2002~2010) 동안 추진되어 온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산출물(문화원형 DB 콘텐츠) 입니다.제공처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kocca.kr[네이버 지식백과] 저장되어 있음... 현재 원본사이트는 폐쇠되었음 2022.01.01 




    한국천문 우리하늘 우리별자리
    한국천문
    우리 하늘의 별자리를 찾아서
    한국천문의 과거 현재, 미래를 위해
    고인돌에 새겨진 별자리
    고구려 고분 벽화에 담긴 천문의 흔적
    고려 '치성광불여래왕림도'
    천상열차분야지도
    조선의 신법 천문도
    천문 고서
    우리 별자리 개요
    하늘 임금이 사는 곳 3월
    3원의 개요
    하늘 궁궐 자미원
    자미원 하늘궁궐의 개요


    5성 북극





    4성 사보 사보별자리





    6성 구진 구진별자리
    1성 천황대제 천황대제별
    5성 천주 하늘기둥별자리
    4성 어녀 후궁별자리
    1성 여사 여사별
    1성 주사 사관별
    5성 상서 상서별자리
    6성 천상 침소별자리
    2성 대리 판사별자리
    2성 음덕 음덕별자리
    6성 육갑 관상감별자리
    5성 오제내좌 자미병풍별자리
    7성 화개 임금양산별자리
    강 임금양산대별자리
    7성 우원장 자미오른담 / 8성 좌원장 자미왼쪽담
    7성 (輔 1성 포함) 북두 북두칠성별자리 1
    7성 (輔 1성 포함) 북두 북두칠성별자리 2
    1성 천을 천을성(천일성)
    1성 태을 태을성(태일성)
    2성 내주 하늘부엌별자리
    3성 천창 무기창고별자리
    1성 현과 임금창별
    3성 삼공 삼정승별자리
    1성 상 재상별
    4성 천리 하늘감옥별자리
    1성 태양수 대장군별
    1성 태존 왕족별자리
    6성 천뢰 하늘감옥별자리
    4성 세 내시별자리
    6성 문창 문창별자리
    6성 내계 하늘계단별자리
    3성 삼사 사부별자리
    8성 팔곡 곡식별자리
    9성 전사 영빈관별자리
    6성 천주 수라간별자리
    5성 천부 하늘몽둥이별자리
    7성 (輔 1성 포함) 북두 북두칠성별자리-3
    하늘정부청사 태미원
    태미원(太微垣) 하늘정부청사의 개요
    5성 오제좌 오제좌별자리(=데네볼라)
    1성 태자 세자별
    1성 종관 시종별
    1성 재신 대신별
    5성 오제후 오제후별자리
    3성 구경 장관별자리
    3성 삼공 수행원별자리
    4성 내병 태미병풍별자리
    5성 우원장 태미 오른쪽담/좌원장 5성 좌원장 태미 왼쪽담
    1성 낭장 경호대장별
    15성 낭위 경호원별자리
    7성 상진 근위병별자리
    6성 삼태 삼태성별자리
    1성 호분 근위대장별
    4성 소미 선비별자리
    4성 장원 도성수비대별자리
    3성 영대 영대별자리
    3성 명당 명당별자리
    1성 알자 외교관별
    하늘시장 천시원
    천시원 하늘시장의개요
    1성 제좌 임금자리별
    1성 후 예언자별
    4성 환자 환관별자리
    5성 두 상평창별자리
    4성 곡 쌀가게별자리
    2성 열사 보석가게별자리
    2성 거사 수레가게별자리
    6성 시루 천시관리별자리
    2성 종정 종실어른별자리
    4성 종인 종친별자리
    2성 종 종실별자리
    2성 백탁 포목상별자리
    2성 도사 푸줏간별자리
    11성 우원장 천시 오른쪽담/좌원장 11성 좌원장 천시 왼쪽담
    9성 천기 신하별자리
    3성 녀상 궁녀별자리
    9성 관삭 천시감옥별자리
    7성 칠공 관리별자리
    사계절 별자리와 사신
    28수의 개요
    봄 별자리
    동방칠수 봄의청룡의개요
    각수의 개요
    2성 각 각수(재판관별,장군별)
    2성 평도 하늘길별자리
    2성 천전 하늘밭별자리
    3성 주정 하늘솥별자리
    1성 진현 인재별
    2성 천문 하늘관문별자리
    2성 평 법률별자리
    10성 고루 군대창고별자리
    11성 주 군진별자리
    2성 남문 하늘대문별자리
    항수의 개요
    4성 항 항수
    1성 대각 하늘대들보별
    3성 우섭제 방패별자리/좌섭제 3성 좌섭제 방패별자리
    7성 절위 군법별자리
    2성 돈완 옥사쟁이별자리
    2성 양문 변방별자리
    저수의 개요
    저 저수
    4성 항지 하늘배별자리
    3성 제석 옥좌별자리
    3성 경하 하늘창별자리
    1성 초요 초요별
    1성 천유 감로수별자리
    2성 천폭 하늘수레별자리
    3성 진차 전차별자리
    10성 기관 기마병별자리
    3성 거기 전차대장군별
    1성 장군 기마대장군별
    방수의 개요
    4성 방 별궁별자리
    2성 구검 방의자물쇠와열쇠별자리
    1성 건폐 궁궐대문의자물쇠와열쇠별
    3성 벌 형벌별자리
    4성 서함 서쪽문별자리/동함 4성 동함 동쪽문별자리
    1성 일 해별
    2성 종관 하늘의사별자리
    심수의 개요
    3성 심 마음별자리
    2성 적졸 군대별자리
    미수의 개요
    9성 미 궁중여인별자리
    1성 신궁 내실별
    4성 천강 하늘강별자리
    1성 부열 삼신할미별자리
    1성 어 물고기별
    5성 귀 거북이별자리
    기수의 개요
    4성 기 키별자리
    강 쌀겨별
    3성 저 방앗간별자리
    여름 별자리
    북방칠수 여름의 현무
    두수의 개요
    6성 두 남두육성별자리
    천약 하늘자물쇠별자리
    9성 천변 시정관리별자리
    6성 건 천마별자리
    2성 천계 하늘닭별자리
    2성 구 누렁이별자리
    4성 구국 오랑캐별자리
    3성 천연 하늘연못별자리
    1성 농장인 농부별
    11성 별 하늘자라별자리
    우수의 개요
    6성 우 견우별
    천부 하늘북채별자리
    3성 하고 하늘북별자리
    9성 우기 오른쪽 깃발 별자리/左旗 9성 좌기 왼쪽 깃발 별자리
    3성 직녀 직녀별자리
    4성 점대 물가누각별자리
    5성 연도 임금행차길별자리
    3성 나언 하늘제방별자리
    4성 천전 하늘밭별자리
    4성 구감 하늘도랑별자리
    녀수의 개요
    4성 녀 하늘여인별자리
    4성 리주 패물별자리
    5성 패과 씨앗별자리
    5성 포과 과일별자리
    9성 천진 하늘나루터별자리
    4성 해중 수레관리별자리
    7성 부광 양잠별자리
    16성 십이국 열두제후별자리
    허수의 개요
    2성 허 빈집별자리
    2성 사명 목숨별자리
    2성 사록 녹봉별자리
    2성 사위 교화별자리
    2성 사비 시비별자리
    2성 곡 큰울음별자리
    2성 읍 눈물별자리
    3성 리유 혼례복별자리
    13성 천루성 북쪽오랑캐별자리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1-09 조회 2220
  •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달력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달력
     
     
    시골에서 자랐던 필자의 기억으로는 하늘의 별들이 무척이나 컸었고, 마치 땅으로 떨어질 것처럼 가까이 느끼기도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까만 하늘에 녀무나 맑게 보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중충한 요즘의 서울하늘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추억이기에, 그러한 정서를 우리의 후손들이 경험할 수 없다는 현실이 더욱 안타깝다.
     
    헤아릴 수도 없이 많지만, 현재의 과학으로는 그 신비함을 아직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하늘에 있는 별이기도 하다. 그 중 력(曆)과 관련이 있는 별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 생활에 가장 중요한 달력이 별자리의 변화를 관찰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아는 분이 얼마나 될까?
     
    력(曆)을 산정하기 위해서 관찰했던 중요한 별자리는 태양과 달, 28수(宿), 북두칠성(北斗七星), 오성(五星)이다. 이들의 위치변화를 관찰하여 하늘의 경도(經度)와 위도(緯度)를 산출하고 또 사계절 12월의 정확한 력(曆)을 산출하게 된다. 이들의 별자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태양은 궤도인 일전(日纏)을 따라 공전하는데 1년이 걸리며, 달은 자전하면서 지구를 공전하며 회전하는 월리(月離)가 한 달이 걸린다.
    그 다음 28수(宿)는 하늘을 동서남북(東西南北)으로 구분하여 7개씩 있는 별자리를 의미한다. 이 별들은 12지(支)와 관련이 있다.
     
    먼저 동쪽의 청룡(東靑), 혹은 창룡(蒼龍)이라고도 하는 7개의 별이 각항저방심미기(角亢氐房心尾箕)이다. 각각 살펴보면,
    각수(角宿)는 이무기로 상징되고 항수(亢宿)는 용(龍)으로 상징되는데 이를 대표로 용(辰)으로 하였고, 담비인 저수(氐宿)와 토끼인 방수(房宿), 여우인 심수(心宿)의 대표를 토끼(卯)로 하고, 호랑이인 미수(尾宿)와 표범인 기수(箕宿)의 대표를 호랑이(寅)로 하여 12지(支)에서 동방(東方) 인묘진(寅卯辰)으로 나타낸다.
     
    다음 남쪽의 주작(朱雀), 혹은 주조(朱鳥)라고도 하는 7개의 별은 정귀류성장익진(井鬼柳星張翼軫)으로서,
    큰사슴인 정수(井宿)와 양인 귀수(鬼宿)의 대표를 양(未)으로 하였으며, 노루인 유수(柳宿)와 말인 성수(星宿), 사슴인 장수(張宿)의 대표를 말(午)로 하고, 뱀인 익수(翼宿)와 지렁이인 진수(軫宿)의 대표를 뱀(巳)으로 하여 12지(支)에서 남방(南方) 사오미(巳午未)로 나타낸다.
     
    서쪽의 백호(白虎)라고 하는 7개의 별은 규루위묘필자참(奎婁胃昴畢觜參)으로서,
    이리인 규수(奎宿)와 개인 루수(婁宿)의 대표를 개(戌)로 하였으며, 꿩인 위수(胃宿)와 닭인 묘수(昴宿), 새인 필수(畢宿)의 대표를 닭(酉)으로 하고, 원숭이인 자수(觜宿)와 유인원인 참수(參宿)의 대표를 원숭이(申)로 하여 12지(支)에서 서방(西方) 신유술(申酉戌)로 나타낸다.
     
    북쪽의 현무(玄武)라고 하는 7개의 별은 두우여허위실벽(斗牛女虛危室壁)으로서,
    게인 두수(斗宿)와 소인 우수(牛宿)의 대표를 소(丑)로 하였으며, 박쥐인 여수(女宿)와 쥐인 허수(虛宿), 제비인 위수(危宿)의 대표를 쥐(子)로 하고, 돼지인 실수(室宿)와 설유인 벽수(壁宿)의 대표를 돼지(亥)로 하여 12지(支)에서 북방(北方) 해자축(亥子丑)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28개의 별자리가 하늘의 동서남북에 퍼져 있고 가운데의 북쪽에 자미성(紫微星)이라고도 하는 북극성(北極星)이 위치하며, 그 주변에 북두칠성(北斗七星)이 위치한다. 이 북두칠성(北斗七星)은 우리들에게 특히 친밀하게 다가오는 별자리인데 그 형태를 알아보자. 그 의미에 대한 내용은 고급과정교재인 궁통보감 제1권 43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손잡이 부분 3개를 두병(斗柄)이라고 하는데, 이 두병(斗柄)이 동쪽을 가리키면 사계절 중에 봄철이 되며, 남쪽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변화하면 여름철이 되고, 가을철에는 서쪽을 가리키고, 겨울철에는 북쪽을 가리킨다.
     
    두병이 동쪽을 가리킬 때 오성(五星) 중에서, 목성(木星)인 세성(歲星)이 나타나 보이게 되며, 남쪽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변화할 때 목성(木星)은 사라지고 화성(火星)인 형혹성(熒惑星)이 나타나며, 여름철의 끝 부분에 다시 사라지고 토성(土星)인 진성(鎭星)이 나타나며, 서쪽을 가리킬 때 금성(金星)인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나고, 다시 북쪽을 가리킬 때 금성(金星)은 사라지고 수성(水星)인 진성(辰星)이 나타나게 된다. 이들 오성(五星)은 각각 72일씩 보이게 되는데, 이를 더해보면 360일이 된다.
     
    다음 그림을 보자.
     

     
     
    음력 11월의 동지(冬至) 시점에서의 28수(宿)와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위치이다. 여기에 12지(支)의 방위(方位)도 표시했다. 동지(冬至)의 시점에서는 두병(斗柄)이 정북(正北)인 28수(宿)의 허수(虛宿)를 가리키게 된다. 12지의 방위(方位)로 보면 자수(子水)의 위치이다. 여기서 동쪽으로 점점 그 위치를 바꾸게 되는데 남쪽과 서쪽을 거쳐 한 바퀴 회전하면 1년이 소요된다.
     
    따라서 28수(宿)에서 북쪽의 허수(虛宿)와 남쪽에 있는 성수[星宿, 이를 엄밀히 말하면 장수(張宿)가 된다.]를 일직선으로 하여 경도(經度)를 표시하였고, 동쪽에 있는 방수(房宿)와 서쪽에 있는 묘수(昴宿)를 일직선으로 하여 위도(緯度)를 표시했다. 이를 12지(支)로 보면 자오선(子午線)과 묘유선(卯酉線)이 된다. 두병(斗柄)이 축(丑)의 위치를 가리키면 12월이 되며, 인(寅)의 위치를 가리키면 1월이 된다.
     
    시간의 흐름에 대한 고대의 산출법은 흙으로 축대를 쌓아 세 곳에 두어 그림자를 관찰하는 방법과, 대나무를 두어 관찰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후에 물로서 산출하는 방법도 사용하게 된다. 흙으로 만든 축대와 대나무를 세우는 방법은 동쪽과 서쪽, 그리고 그 사이의 중앙 남쪽에 설치하여 그림자로서 관찰하는 방법이며, 이를 토규측영법(土圭測影法), 표간측영법(標竿測影法)이라고 한다.
     
    여기서 윤달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자.
    서경(書經)에서 1년은 365일과 235/940일이 되는데, 이는 곧 365.25일이 된다. 따라서 윤달을 가운데 두어야 매년 사계절이 정확히 맞게 된다고 하고 있다. 따라서 24절기(節氣)에 따라 윤달을 두게 되는데,
     
    절(節)이라고 하는 것은 태양과 달이 만나는 시점을 표현하는 것이고, 기(氣)라고 하는 것은 태양과 달, 그리고 북두칠성(北斗七星)이 만나는 시점을 표현한다. 절(節)과 절(節) 사이는 한 달이 되며, 절(節)과 기(氣) 사이는 15일이 되고, 기(氣)와 기(氣) 사이도 한 달이 된다. 따라서 매월에는 절(節)과 기(氣)가 있게 된다.
     
    만약 해당되는 달에 태양과 달이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만나지 않게 되는 달이 있다면 이 달이 윤달이 된다. 따라서 3년에 한 번 윤달을 두게 되며, 5년마다 다시 윤달을 두게 된다, 이렇게 되면 19년 사이에 윤달을 7번 두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조금 어렵지만 하도(河圖)의 선천팔괘(先天八卦)의 이치와 부합되는 사항이 된다.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이치(理致)는 바로 이러한 별자리의 오묘(奧妙)한 변화와 그에 따라 변화되는 기(氣)의 흐름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역시 그 변화되는 오행의 흐름으로 운명(運命)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것이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2-30 조회 2020
  • 경기 화성군 향남면 구문천리 구밀 당제
    경기 화성군 향남면 구문천리 구밀 당제제명 : 당제신격 : 종이오래기 성주, 터주제당 :일시 :신화특별하게 전하는 신화는 없다.물언리는 별도의 터줏가리가 있으며 거기도 3년마다 한 번씩 당제를 지낸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1-27 조회 1852
  • 24 절기표







    24절기 [ 二十四節氣 ]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다. 














    명칭의미대표 음식태양  날짜일출정남일몰춘분밤낮
    길이 같음 6:3512:3918:44춘분(春分) 2017년 3월 20일 청명농사
    준비하는 날찬밥6:1212:3518:58청명(淸明) 2017년 4월 4일 한식동지에서
    105일 되는 날찬밥6:1112:3518:59곡우농사비
    오기 바라는 날곡우차5:5112:3119:12곡우(穀雨) 2017년 4월 20일 입하여름의
    시작쑥떡5:3312:2919:25입하(立夏) 2017년 5월 5일 소만농사의
    시작냉이국5:1912:2919:39소만(小滿) 2017년 5월 21일 단오음력
    5월 5일쑥떡5:1212:3019:48 망종씨
    뿌리는 날보리밥5:1112:3119:50망종(芒種) 2017년 6월 5일 하지해가
    가장 긴 날감자전5:1112:3419:57하지(夏至) 2017년 6월 21일 소서더위의
    시작수제비5:1712:3719:56소서(小暑) 2017년 7월 7일 초복하지에서
    3번째 경일삼계탕5:2412:3819:52 대서가장
    더운 때 5:2712:3819:50대서(大暑) 2017년 7월 23일 중복하지에서
    4번째 경일삼계탕5:3212:3919:44 입추가을의
    시작 5:4112:3819:35입추(立秋) 2017년 8월 7일말복입추에서
    1번째 경일삼계탕   처서일교차
    커짐 5:5412:3519:15처서(處暑) 2017년 8월 23일 백로이슬이
    내림포도6:0812:3018:51백로(白露) 2017년 9월 7일 추석음력
    8월 15일 보름날송편   추분밤낯
    길이 같음 6:2012:2518:28추분(秋分) 2017년 9월 23일 한로찬
    이슬이 내림국화전6:3312:2018:06한로(寒露) 2017년10월 8일 상강서리가
    내림 6:4712:1617:45상강(霜降) 2017년10월 23일 입동겨울의
    시작김장김치7:0312:1617:28입동(立冬) 2017년11월 7일 소설얼름이
    언다 7:2012:1818:17소설(小雪) 2017년11월 22일 대설큰
    눈이 온다 7:3312:2317:13대설(大雪) 2017년12월 7일 동지밤이
    제일 길다팥죽7:4312:3017:17동지(冬至) 2017년12월 22일 소한가장
    춥다 7:4712:3817:28소한(小寒) 2017년 1월 5일 대한매우
    춥다 7:4412:4317:42대한(大寒) 2017년 1월 20일 입춘봄의
    시작탕평채7:3412:4617:58 입춘(立春) 2017년 2월 4일 우수비오고
    싹이 튼다 7:1812:4618:15우수(雨水) 2017년 2월 18일설음력
    1월 1일떡국   경칩동물이
    겨울잠에서 깬다 6:5812:4318:30경칩(驚蟄) 2017년 3월 5일 춘분밤낮 길이 같음 6:3512:3918:44춘분(春分) 2017년 3월 20일         동지가 지났는데도, 평소 출근 때 보다 해가 확실히 더 늦게뜨길래 궁금해서 찾아봤어요.​그저 바쁜일상 때문에 '겨울철 출근길은 어둡고, 여름철 출근길은 밝구나.' 정도로만 느꼈었는데, 이런것도 찾아보고, 여유가 생기긴 했나봅니다.​  일출,일몰은 2015년기준이므로 대략적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출처 : http://astro.kasi.re.kr/Main/MainPage.aspx[네이버 지식백과] 24절기 [二十四節氣] (두산백과)천문우주지식포털astro.kasi.re.kr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9 조회 1781
  • Lena 朝와 Yenisei 鮮 - Choson(朝鮮), 순록 유목과 방목-貊·濊
    몽골스텝에는 담수호와 염수호가 반반쯤 있는데, 담수만 유목민과 유목가축의 생명이 마시고 사는 물이니까 여기서 담수(淡水)-‘맑은 물’ 은 이들의 생명수인 셈이다. 염수에서는 이들 생명이 못살고 그래서 이들 생명이 사는 담수-아리수지대는 동족부락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물론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는 공동묘지 종산(宗山)- Burqan(不咸: 朝鮮語 ‘紅柳’)이 있는 고향이 된다. 스키토 시베리아 최대 아리수(Arig Usu,『몽골비사』)는 당연히 Baikal 호이고 그런 까닭에 바이칼 호는 북방 유목몽골로이드의 생명의 원천인 본향(本鄕)이다. 현무는 북방 물에 해당하고 바이칼 호는 북방 유목몽골로이드의 부르칸 (宗山에 임재 하는 不咸)이 임재한 성수(聖水) 현장이다. 언제부턴가 레나 강과 바이칼 호수를 잇는 수맥은 단절됐다지만 본래 바이칼 호수는 사실상 서의 예니세이 강과 동의 레나 강이라는 북류하는 시베리아 2대 강의 한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그림] 본래의 레나 강과 예니세이 강의 원천 담수호 바이칼. 이 2강이 크게는 순록 유목 조족(朝族)과 순록방목 선족(鮮族)을 가르는데, 조족 중심 선족 통합으로 Chaatang朝鮮을 이루고 맥족 주도 예족 통합으로 맥예제국(貊濊帝國)을 먼저 이루지만,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 혁명의 스텝세계제국에서  산업혁명 이후의 해양제국을 창업해가는 과정에서 그 주도주체가 역전돼 선족(鮮族) 주도 조족(朝族)~예족(濊族) 주도 맥족(貊族)제국-예맥제국(濊貊帝國) 지향 경향을 이루어 온 것으로 보인다. 야쿠츠크 국립대 사학과의 알렉셰프 아나톨리 교수의 구두보고[「한민족의 기원과 고대국가 형성과정의 퉁구스-만주 요소 문제」『한민족 유목태반사 연구 복원을 위한 구상』강원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토론 석상에서 언급, 2007.4]에 의하면 수달과 산달이 순록유목 본거지인 사하지역 북극해 권에는 없다고 하니 예(濊), 맥(貊), 예맥국(濊貊國) 문제는 훌룬부이르 태평양권-대만주권이 주 무대가 되어 이어져왔거나 발생하고 발전해왔었을 수 있다. [그림]은 과 chuchaehyok.com에 실려 있다.  먼저 어설픈 대로 대담하게 스키토·시베리아사의 큰 밑그림을 그려보자! 지도를 펴고 살펴보면 동북 레나 강 쪽은 북극해 쪽 상대적인 고지대인 산간의 순록유목지대고, 그나마도 언제부턴가 바이칼 호 서북고(西北高)·동북저(東北底) 지각변동이 이루어지면서 언제부턴가 바이칼 호에서 기원하는 수맥조차 차단됐다. 그래서 당연히 서북 예니세이 강 서북 대 벌판지대와는 많이 다른 상태계 판세를 이루고 있다. 이로 미루어보아 동북의 레나 강 쪽을 순록유목지대 조족(朝族: Cho; Chaa?tribe)의 태반으로 서북의 예니세이 강 쪽을 순록방목태반 선족(鮮族: Son; Soyon?tribe)의 태반지대로 대담하게 잡아보았다.  일단 이런 상태에서 유목단계에 들어 조족의 서진이 이루어졌다가 유목의 철기수용과정에서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이 이루어지면서 이들의 일대 역전(逆轉)-동진이 이루어진 것으로 아주 개략적인 밑그림을 그렸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생태공간의 다양성과 유목이나 방목 태반의 특성이 상호 교차·혼융되면서 각각 적응적 진화를 이루어왔겠지만 주로 고지대 지향성을 가지는 산달(山獺: Elbenkh: 너구리) 맥계(貊系)는 고지대 스텝 조족(朝族) 지향성을, 물을 따라 살아야 하는 수달(水獺: Otter) 예족(濊族)은 상대적인 저지대 선족(鮮族) 지향성을 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연히 스키타이 혁명 이후에는 이런 선족화(鮮族化) 경향이 대세를 이루면서도 각각 구체적인 분화를 이루며 산업혁명 이래의 해양제국화 조류를 따라  조(朝)족-맥(貊)족보다는 선(鮮)족-예(濊)족화 경향이 주도적 대세를 이루어왔던 것이 아닌가 한다. 조·맥의 통제지향과 선·예의 개방지향 체제가 엎치락뒤치락 교차·조율(調律)하면서도 선족-예족체제로 주류가 진화해온 것이 아닌가 추정해보는 것이다. 너무나도 어설픈 가설이겠으나, 특히 레나 강~예니세이 강 일대에서 사시사철 노동에 종사해낼 수 있는 게 거의 유일하게 조선(Choson)겨레라는 정보를 순록유목 현지답사과정에서 오가며 흘려듣고는 우선 가설적인 지극히 어설픈 이런 문제를 제기해보게 됐다.  chuchaehyok.com 월요역사칼럼, 2018. 11. 19.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2-12 조회 1649
  • 桓國歷史 반영한 '천상열차지도'의 태미원
     노중평의 우리 별 이야기<20> 마고=직녀=견우의 부인=천제의 딸태미원은 가장 오래되고 먼 울타리...한인천제가 세운 한국의 다른 말 노중평천문에서 마고의 시대와 황궁의 시대는 직녀성의 시대이다. 직녀성시대는 <조디악 12궁도>에서 쌍여궁시대에 해당하므로 1만2000년 전의 시대가 된다. 이 시대를 모계시대라 한다. 마고麻姑는 옷감을 짜는 여신이라는 뜻이다. 마고라는 문자에 삼에서 실을 뽑아 옷감을 짠다는 의미가 있다. 천문에서 옷감을 짜는 여신의 별자리가 직녀성이다. 직녀성은 마고별이다. 견우와 직녀 신화에서 직녀는 견우의 부인이다. 마고와 직녀가 같은 분이므로 마고는 견우의 부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신화에 따르면 직녀는 천제의 딸이다. 천제가 하나님이므로 직녀는 하나님의 딸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태미원도太微垣圖. 태미원이란 가장 오래되어 가장 멀리 있는 울타리라는 말이다. 태미는 한인천제가 세운 한국의 다른 말로 보인다. 태미원 안에는 한국의 방위신인 오제五帝가 있고, 한인천제가 즉위한 즉위별자리도 있다. 한인천제가 즉위할 때 천제를 식장에 모신 의전관인 알자도 있다. 천문에서 우두성牛斗星을 천제의 아들이라 하였다. 우두성은 견우성과 칠성이라는 뜻이다. 직녀는 하나님의 두 아들과 사는 마고이다. 천제의 자식인 마고, 우성, 두성 3남매가 직녀(마고)가 부인이 되고 우성과 두성이 남편이 되는 공동부부가 된 것이다. 상고시대의 이러한 혼인풍습을 푸날루아라 하였다. 천제의 아들과 딸이 공동부부로 묶여 살았던 마고시대가 지나가고 황궁黃穹시대가 왔다. 황궁은 자미원의 중심이라는 뜻이다. 황궁은 마고의 자식이었다. 황궁시대가 지나고 나서, 한인천제의 시대가 왔다. 한인천제는 북두칠성에서 하강한 분이라 북두칠성이 고향이 된다. 마고의 둘째 남편인 북두칠성에서 한인천제가 온 것이다. 한인이란 빛의 씨앗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북두칠성의 자식으로 볼 수 있다. 종교적인 명칭, 과학적인 명칭이다. 상고시대에 우리와 동근동족이었던 인디언의 구전 신화에 드락안이 나오는데 드락안은 두락안斗落安으로 볼 수 있어서 한인천제로 유추할 수 있다. 한인천제가 기묘년에 풍주風州 배곡倍谷에 세운 한국(<부소보서>에 기록된 한국의 시조)의 하늘은 태미원(<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려진 3원垣의 하나)에 속한 하늘이다. 태미원엔 어떠한 별들이 배치되어 있을까?오제五帝:태미원의 중심에는 오제라는 별자리가 있다.청제靑帝 적제赤帝 백제白帝 흑제黑帝 황제黃帝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있다.한국桓國의 방위신인 오방신五方神을 뜻한다.우리 굿거리인「군웅거리」에는 무당이 오방신인 오제를 청배하는 사설이 나온다.동에 청제 들어오는 군웅남에 적제 들어오는 군웅서에 백제 들어오는 군웅북에 흑제 들어오는 군웅오제가 이렇게 군웅이 되어 굿판에 「군웅신장」으로 나타난다.무당이 오제신을 청배하기 때문이다.양수陽數인 5가 겹치는 날인 수릿날 수릿제를 지내는 것도 오제에게 제사지내기 위한 것이라 볼 수 있다.조선왕조시대의 군기軍旗인 오방기五方旗. 오방기는 5개의 방위를 지키는 오방군五方軍을 표시한 군기이다. 오방진五方陣에서는 중군장中軍將이 오방기를 가지고 오방군을 지휘한다. 왼쪽에서부터 청제신장靑帝神將 청룡기靑龍旗, 적제신장赤帝神將 주작기朱雀旗, 흑제신장黑帝神將 현무기玄武旗, 오른쪽은 백제신장白帝神將 백호기白虎旗이다. 오제에게 제사를 지내야만 하는 이유는 천중살天中煞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천중살은 시간과 공간의 불일치에서 오는 천기의 악살惡煞인데,악살을 맞아 죽은 사람,예컨대 비명횡사非命橫死한 사람이의 혼백이 군웅이 되어 떠돌아다니지 못하게 좌정하도록 도와주는 굿이「군웅거리」이다.악살을 맞은 혼백이 오제 밑에 좌정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고 도와주는 분들이 오제이다.태미원에 오방신으로 모신 오제는 오가五加에서 모시던 신이다.◇즉위卽位: 오제가 음우陰佑하고,오가(필자 주,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는 오제후로 나타난다.)가 화백회의에서 선출하여 즉위하게 되는 분이 한인천제이다.한인천제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천제로 즉위한 분이므로 그가 즉위한 사실을 특별히 별자리에 남겼다고 볼 수 있다. ◇좌집법左執法 ․ 우집법右執法:오제가 계신 태미원의 출입구에는 왼쪽에서 법을 집행하는 집행관인 ‘좌집법’과 오른쪽에서 법을 집행하는 집행관인 ‘우집법’이 지키고 있다.이들이 집행하는 법은 지상의 법이 아니라 하늘의 법이다. 하늘의 법은 우주가 운행하는 원리를 말한다.  ◇단문端門:좌집법과 우집법이 지키는 태미원의 문을 ‘단문’이라 한다. ‘단문’은 단오端午날 수릿제를 지낼 때 굿판에 청배된 오제가 통과하여 나가는 문이다. 또한 태미원에 좌정하게 된 군웅들이 통과하여 들어가는 문이 되기도 한다. ◇상상上相 ․ 상장上將:단문 왼쪽에 ‘상상’이, 오른쪽에 ‘상장’이 지키고 있다.‘상상’은 태미원의 최고 재상이고, ‘상장’은 태미원의 최고 장군이다.◇차상次相 ․ 차장次長:상상과 상장 뒤쪽으로 왼쪽에 ‘차상’이,오른쪽에 ‘차장’이 지키고 있다. ‘차상’은 상상의 다음 번 자리에 있는 재상이고, 차장은 상장의 다음 번 자리에 있는 관장이다.  ◇차장次將 ․ 차상次相:사상과 차장 뒤쪽으로 왼쪽에 ‘차장’이,오른쪽에 ‘차상’이 지키고 있다. ‘차장’은 상장의 다음 자리이고, ‘차상’은 상상의 다음 자리이다.◇상장上將 ․ 상상上相:단문을 호위하고 법을 집행는 역할을 수행하는 별이 좌집법의 뒤쪽으로 왼쪽에 ‘상장’이,오른쪽에 ‘상상’이 지키고 있다.좌집법 쪽에 5주主의 신장이,우집법 쪽에 5주의 신장이,좌집법과 우집법을 포함하여 도합 12주의 신장이 태미원을 지키고 있다.이는 12시간의 신명이 지켜주는 우주의 공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한인천제는 풍이風夷 출신이고,그의 부인 항영은 조이鳥夷(烏夷) 출신이라,좌집법이 거느리는 상상 ․ 차상 ․ 차장 ․ 상장은 풍이의 관직으로 볼 수 있고,우집법이 거느리는 상장 ․ 차장 ․ 차상 ․ 상상은 조이의 관직으로 볼 수 있다.태미원 별자리는 한인천제가 즉위할 때의 별자리이다.그래서 즉위식의 별자리가 오제좌의 왼쪽 상단에 그려져 있는 것이다. 모두 15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국을 다스린 한인천제의 재위연수在位年數 15년을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태자太子 ․ 행신幸臣 ․ 종관從官:즉위식 때 식장에 참석한 사람이 1개의 별자리로 이루어진 한인천제의 ‘태자’ ․ ‘행신’ ․ ‘종관’이다. ◇오제후五諸侯:5개의 별로 이루어진 ‘오제후’는 오가이다. ◇구경九卿 ․ 삼공내좌三公內坐:3개의 별로 이루어진 ‘구경’과 ‘삼공내좌’는 즉위식에 하객으로 모인 사람들이다.구경이 3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구경이 3인이라는 뜻이다. ◇병屛:오제의 앞쪽에는 4개의 별로 이루어진 병풍‘屛’을 둘렀다.식장을 나타낸다.  ◇낭장郎將:즉위식장의 배후를 ‘낭장’이 지킨다.낭장은 즉위식장의 경호를 맡은 풍이족의 장군으로 볼 수 있다. ◇상진常陳:낭장의 뒤쪽에는 7개의 별로 이루어진 군대가 늘어서 지킨다. 언제나 군대가 지키므로 ‘상진’이라 한 것이다. ◇호분虎賁:종관의 뒤쪽에는 한 개의 별 ‘호분’이 있다.‘호분’은 한인천제를 경호하기 위하여 호랑이가 지키는 곳이다. 후대에 와선 한웅천왕과 단군왕검도 지켰다. 지금도 성황당이나 산신각이나 칠성각으로 불리는 당집에 걸리는「산신도」에 호분을 그리는데, 호랑이 두 마리는 한웅천왕을 지키는 그림이고, 한 마리는 단군왕검을 지키는 그림이다. 그렇다면 한인천제를 지키는 호랑이는 3마리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호랑이 3마리를 그린 산신도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태上台 ․ 중태中台 ․ 하태下台:6개의 별로 이루어진 ‘상태’와 ‘중태’와 ‘하태’는 한인천제의 즉위식을 관망하는 자리이다.‘하태’에는 백성과 선비가 있고,‘중태’에는 대부 삼공 제후가 있고, ‘상태’에는 황후와 태자가 있다.또한 이 3개의 태는 한인천제가 즉위식을 마치고 부인 항영과 함께 비상하여 하늘로 올라가는 광경을 바라보는 관망대이기도 하다.한인천제가 항영과 비상하는 그림이 고구려고분에 남아 있다.한인천제는 해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리고 있고,항영은 달을 머리위로 들어올리고 있다.◇소미少微:호분의 바깥쪽에 4개의 별로 된 ‘소미’는 태미원의 축소판이다.한인천제가 생활하는 곳,정사를 펴는 곳으로 볼 수 있다. ◇처사處士 ․ 의사義士 ․ 박사博士 ․ 대부大夫:네 별은 아래 첫 별은 ‘처사’,두 번째 별은 ‘의사’,세 번째 별은 ‘박사’,네 번째 별은 ‘대부’이다. 한국의 관직이다.  ◇장원長垣:4개의 별로 이루어진 ‘장원’은 한인천제가 생활하는 곳의 울타리이다.따라서 궁궐의 담장을 나타낸다. 별이 동서남북에 흩어져 있으므로,동궁과 서궁,남궁과 북궁의 울타리가 된다.◇영대靈臺:장원 아래쪽에 있는 3개의 별로 이루어진 ‘영대’는 제사할 때위패를 모시는 제단이다.  ◇명당明堂:장원 아래쪽에 3개의 별로 이루어진 ‘명당’은 한국의 사당이 있는 곳이다.3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삼신을 모신 자리가 된다.◇알자謁者:한인천제 즉위식에서 천제를 인도하는 사람이다. 무당이 오제를 청배하면 12주의 신장이 함께 강림하여 굿판에서 모시는 신명이 된다.알자는 제사를 지낼 때 천제를 제단에 인도하는 향관이다. [노중평 역사천문학회 회장]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8-22 조회 1624
  • 예·맥: 숫수달·산달-Tatar는 스키타이 혁명기 주로 교차·분족 추정
    스텝-타이가-툰드라라는 전형적인 시베리안 루트는 당연히 모피 생산지이자 유라시아를 넘나드는 모피무역로였다. 특히 개방공간에 순록이나 말로 이어지는 교통수단이 뒷받침되는 조건이 갖추어지는 경우에는‘시베리아의 황금(Siberian Gold)’은 교역이 개시된 상고시대 이래로 당연히 모피(毛皮:Fur)이었기 때문이다. 모피의 교역이 낙타로까지 접맥되는 경우가 얼마나 되었는지는 그 분야에 문외한인 나는 알지 못한다. 그래서 순록의 Lichen Road(이끼의 길)와 기마 양의Steppe Road를 위주로 하는 시베리안 루트(Siberian Route)는 당연이 주로 Fur road(모피의 길)로 명명함이 상식이리라 본다.특히 한 대(漢 武帝 BC 139년 장건) 이른바 Oasis Road[장안~로마]-Silk Road가 개척되기 이전까지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근래 해양제국기에 들어서는 물론 Sea Road(바닷길)가 교역의 주도권을 장악케 된다.[그림] 지도에 첨부된 북극해 쪽과 동해의 처용탈[玄武-淡水-宗山]은 양지대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유목과 비유목 생태계라는 차이도 현재는 엄존하지만 역사적인 상호관계(DNA)는 매우 밀접하다는 점을 강조하려 하여 굳이 사진꾸미기를 하였다.동북아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BC 5 세기 경)의 기원지 호눈선원(呼嫩鮮原:HoNun sopka & steppe)지대의 사진은 좌상이 숫수달(濊:Buyir?), 우상이 산달(山獺=貊:Elbenkh)이며 하중이 유목의 상징 Buri( 유목의 토템어 늑대 Wolf;渤海:Boka)다.시베리아 모피의 대종은 수달(Otter)인데 수달 가운데서도 숫수달(Buyir: Male otter)이 암수달(Female otter)보다 모피가 더 좋다.이들 삼자가 Scythia 기마 양유목혁명을 기점으로 주로 교차·분기하면서 조선과 몽골이 형성돼온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고증관계는 논자의 『차탕조선』혜안 2017 관계난 참조.그림은<blog.daum.net/chuchaehyok>과 chuchaehyok.com 에 실려 있다.모피의 길에 주로 오르내리는 모피 상품의 주종은 수달(水獺: Otter)․ 산달(山獺: Mountain racoon,너구리)․ 해달(海獺:Sea otter) ․ 한달(旱獺 또는 乾獺:Тarbagan)이어서 아무르 강 입구에 Tatar(獺獺)해협이 있기까지 하다.역사가들이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 를 팍스 타타리카(Pax Tatarica)라고도 서슴지않고 명명하고 있는 것은, 유라시아북방유목몽골로이드제국의 태반이 주로 이(獺獺:Tatar)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까닭이다. 장쥐허(張久和,내몽골대 몽골사)교수는 단군(檀君)의 단(檀)마저도 단단(檀檀)-달달(獺獺)로 읽는다.단군을 무엄하게도 Tatar Khan이라 본다는 것이다.다 싱안링 중동부[화산지대]가 생가인 장교수와 2000년 봄에 북극해와 태평양의 거세찬 바람이 직충하는 거의 동북아 싱안링권의 최고봉이라 할 백두산 천지를 동행해 오르내리며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어보았다.서로 이견이 없지 않았겠지만 그래도 지구촌시대-정보화시대엔 불·영학자들이 Rosetta Stone을 해독해내던,그런 진지한 역사과학적인 접근 자세로 오로지 담담하게 단군 관계 사료를 천착해볼 필요가 있을 수 있겟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무한개방·무한경쟁의 생태공간 스텝·타이가·툰드라의 순록~기마 양유목사의 시의에 따른 엄연한 주도역-특히 BC5세기 경의 호눈선원(呼嫩鮮原:HoNun sopka & steppe)에서 본격화했던‘동북아 스키타이대혁명사’를 소외시하고 단순한 추상적인 일원적인 농경사관의 관점에서 동북아시아사를 총괄해 해석해보려는 자세가 너무나도 터무니없는 무리라면,조선사든 한족사(漢族史)든 상당히 추상적인 사관(史觀)보다 구체적인 사실(史實)에 근거한 엄정한 과학적인 관계 역사복원을 면밀히 추구하는 것이 정도가 아닐까? 주로 수렵~어로에서 방목~유목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농후한 차탕조선사의 경우엔 그 시원조선사부터 정보화·유전체학시대에 더 적합한 혁신적인 시각의 접근․도전이 시도돼야 하지 않을까? 특별히 동북아 Scythia 기마 양유목혁명기를 일대의 기축으로 삼아 솟구쳐나는 Chaatangchoson사~예맥(濊貊)-Tatar사로 시각을 과감히 재조정하면서 유목제국사(Pastoral nomadic empire) 기틀 위에 본격적으로 발전해온 예․맥의 농경조선사와 맥(貊) 주도의 유목몽골사의 교차․분기의 역사발전과정을 복원해내보려는 시도가 이에 감행돼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기도 한다.         chuchaehyok.com 월요역사칼럼,<blog.daum.net/chuchaehyok> 2018. 8. 6(월)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2-12 조회 1611
  • ‘몽골·몽고’담론, 맥(貊: 너구리=山獺)사냥꾼 활잡이
    1990년 한·몽수교가 이루어지면서 북방사회주의권이 열리자 제일 먼저 문제시 된 것은 몽골에 대한 호칭문제였지요. 몽고로 부르느냐 몽골로 부르느냐를 두고 구미에서 공부하고 온 한 한국어학 전공자와 몽골사 전공자인 내가 앞장서서 이 담론에 동참케 됐습니다. 한국어학이야 한국에서니까 경우가 다르겠지만, 당시 국내 정통 몽골학 전공자는 너무나 희귀한 터여서였던가 봅니다.~~~~~~~~~~~~~~~~~~~~~~~~~~~~~~~~~~~~~~~~~~~몽골·몽고 담론| 조선일보 1990년 4월 16일자~~~~~~~~~~~~~~~~~~~~~~~~~~~~~~~~~~~~~~~~~~~~~~~~~~~~~~~~~~~~~~~~~~~~~~~~~~~~~~우로부터 주채혁 초대한국몽골학회장, 셰 비라 IAMS사무총장, 권영순 초대 주몽골한국대사, 나착도로지 원로 몽골사학자| 제1회 『몽골비사』에 관한 한·몽 심포지엄 주제발표 중. 몽골과학아카데미 강당 1991년 8월 5일[한국몽골학회의 7~8월 첫 訪蒙時]~~~~~~~~~~~~~~~~~~~~~~~~~~~~~~~~~~~~~~~~~~~~~~~~~~~~~~~~~~~~~~~~~~~~~~~~~~~~~http://blog.daum.net/chuchaehyok/357당장은 관행상 양자를 혼용하는 추세였지만 몽골과의 교류가 빈번해진 지금은, 저절로 ‘몽골’(Mongol: 貊槁離?)이 대세로 자리 잡게 됐지요.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몽·한 ‘유목태반 기원사’(起源史) 복원을 두고 볼 때 천만 다행이었나 봅니다.다른 동북아시아 종족이나 나라 이름들처럼 몽골 명칭에 관한 초역사적이라 할 관념적인 언어유희 차원의 해석시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난 한마디로 몽골은 ‘수조전설’(獸祖傳說)과 유관한 맥(貊)과 수렵-유목의 핵심무기 ‘활’이 결합된 이름이라고 추정해보고 있지요.산달(山獺) 곧 Elbenkü라는 짐승인 너구리=맥(貊)과 활(弓)이라는 뜻을 갖는 Gooli(高麗)가 결합된 이름이라는 코드로 풀어야 풀리는 생태생업사 배경을 가진 것이, “몽골” 명칭이라고 나는 내 나름으로 천착해본 겁니다. Maek Gooli: 맥고려(貊高麗=貊弓)에서 Mongol이 나왔다고 본 셈입니다.1995년 7월 27일에 장덕진 대륙연구소장님의 후원으로 진행된 홍산문화권 서북단이라 할 다리강가 몽골스텝의 고올리 돌각담 유적 발굴장(단장: 손보기 당시 단국대 객원교수님; 이즈음에 이홍규, 오용자 교수님 등 첨단 유전체학 한국연구자에 관한 정보를 주셨음)에서 몽골의 유목사적 정체성 문제에 대해 김장구 교수(동국대 사학과)와 담소하던 중, 김 교수가 문득 맥(貊)과 고리(槁離) 문제를 제기해 문제로 삼은 터였지요.이듬해부터 나는 발굴장에서 천착하기 어려운 몽골명칭의 역사적인 정체를 탐구하기 위해 몽골의 기원지 에르구네 (多勿?)스텝 소재지인 몽골고원에서, 가장 유명한 양유목초지 대흥안령 북부 훌룬부이르 몽골스텝으로 모두 훌훌 털고 떠나버렸답니다.거기서 동·북방유목몽골로이드 순록·양유목의 태반 호·눈선원(呼·嫩鮮原)을 몇해동안 헤매 돌다가 마침내 시원 Mongol은, 맥궁(貊弓)-맥고려(貊高麗) 곧 철기시대에 들면서 순록치기가 양치기로 일약 황금빛 유목생산혁명을 이룩하며 창업된 기마 양유목태반 기원 “원(原)고구려-槁離”에서 유래된 겨레이름일 수 있다는 내 나름의 결론을 확보하게 된 겁니다. 그 순간, 그 때 그 김 교수의 허심한 혜안이 적중한 거라고 감탄했지요..이를 계기로 마침내 철기시대 이전 석기~청동기시대에 북유러시아 광역에 걸쳐 아주 오래 유목생산을 주도해온 순록치기-순록유목민인 조족(朝族)과 순록방목민인 선족(鮮族) 내지는 Chaatang朝鮮(조선: Chaoxian)이 당연히 철기시대에 들어서야나 유목의 본류~주류로 본격적으로 대두되는 기마 양치기 몽골(Mongol)의 근원을 이룬다는 것을 천착해 확인하는 역사적인 과제가, 본격적으로 문제시되게 된 셈입니다.그러니까 철기시대의 도래와 더불어서야 비로소 주류 유목민으로 대두되는 기마 양치기 몽골이 조선의 뿌리가 아니라 석기시대 이래로 점진적인 오랜 발전을 이루어온 순록치기 기원(起源) 주류의 조선이 유목사 발전단계로 보아 당연히 도리어 몽골의 뿌리라는 문제의 천착이, 이 시대 북유라시아 몽골노마드 역사의 본질적인 핵심과제라고 마침내 짚어 내보게 됐던 거지요.역시 종족명이나 국명은 대체로 그 집단의 역사적 정체성을 담아오게 마련이어서, 매우 소중한 한 집단의 핵심 역사정보일 수 있다고 여긴 겁니다.주채혁qorian66@naver.com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2-12 조회 1549
  • 고대 북방의 고유문자
    세조의 상고사서 수거령과 훈민정음 (13)​  ​지금으로부터 9000~5000년 전에 홍산문화가 있었고, 홍산문화를 누리며 살았던 삶의 주인공들이 삶의 모습을 기록한 것이 고대 환단사서 즉 상고사서들입니다.​홍산문화 주인공들의 삶을 기록한 책이 조선시대 세조의 수거령이 내려진 환단사서이며, 그들의 철학이 놀랍게도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이 되었습니다.​훈민정음 서문에서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의 글자는 '자방고전'이라고 해서 옛날의 글자를 본떠서 만들었다는 문구가 분명히 있습니다.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그 문구를 유령 취급을 합니다. 한글은 100% 창작이라면서 '자방고전'에 대해 전혀 연구를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최만리도 세종대왕과 논쟁을 하면서 '한글은 천한 민간의 언문을 끌어다가 만든 것이다'라는 그런 뜻의 말을 분명히 합니다.그것을 볼 때 세종 시대까지도 고대부터 써오던 한글과 비슷한 문자가 민간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을 보여줍니다.​교육부의 특별 연구 사업으로 만주지역의 고문자 연구를 한 적이 있습니다.그 때 제보를 받고 수원의 한 수집가의 집을 갔어요.그 수집가가 대동강 유역의 전돌 즉 무덤에 들어가는 벽돌에 한자와 한자가 아닌 한글과 비슷한 문자가 새겨져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두 번을 가서 확인을 해봤는데요, 현장에서 봤을때 분명히 한글하고 흡사했습니다.3세 가륵단군 때 삼랑 을보륵이 만들었다고 하는 정음 38자와 분명히 유사한 모양의 글자들이 있더라고요.그래서 그 벽돌들의 수집가에게 깨진 벽돌 하나를 받아냈어요.​연대측정을 해봤더니 1500년전 전후의 것이라는 시대 측정이 나왔습니다.그것은 고구려 시대죠, 대동강 유역이기도 하니까요.그렇다면 그 문자들은 분명히 한글 이전에 존재했다는 거예요.​이런 얘기를 사람들에게 해도 믿고 싶어하지 않고 이런 사실을 회피하려고만 하더라고요.​​Q 홍산문화에서도 한자와 관련이 없는 독특한 문자가 발견되었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A 융합고고학과가 생기고 나서 홍산유적을 연구하는 유일한 학과이다 보니까 홍산문화의 유물을 수집하는 수집가들이 먼저 연락을 해옵니다, 자기 유물 좀 와서 봐달라고요.​ 재미있는 것은 여러 유물들에서 한자가 분명히 아니고 아주 고유한 부호와 문자가 나옵니다.부조 형태로 나오거든요.그 패턴들이 상당히 여러 다른 종류의 다른 수집가들의 옥기 유물인데도 불구하고 비슷한게 나와요.​그런 것에서 한자나 갑골문이 아닌 고유 문자가 존재했다고 보는 것입니다.환단고기에 보면 인류 최초의 문자가 '녹도문'이었다고 나옵니다.​​Q 녹도문은 지금 전해지지 않고 있거든요, 방금 말씀하신게 바로 그 흔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A 태백일사의 소도경전본훈에 보면 홍산문화에 '사슴 발자국을 보고 만든 녹도문이 있고 그 이후에도 우서, 화서, 투전문, 용서, 신전 등 다양한 문자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정식 발굴 절차를 거쳐서 확인하고 싶지만 정확한 수집 경로와 사연을 알 수 없는 많은 홍산문화 유물들이 수집가들에 의해서 지금 한국에 들어와 있습니다.​​옥기 유물 뿐만 아니라 주나라 시대 서주 다음의 동주 시대 특히 춘추전국 시대의 명문이 많이 나오는데요.단군조선의 번조선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는 요서 지역 그리고 난하 유역, 조양 인근 지역에서 청동기 유물도 나옵니다.그 청동기에 보면 한자가 아니고 갑골문도 아니고 주나라의 명문도 아닌 아주 이상한 고유의 문자들이 나와요.​그런 것들을 국내에 청동기 명문을 전공한 학자들, 여러 분들에게 사진을 보내서 해독을 의뢰하면 해독을 못한다고 해요.왜냐하면 못보던 글자들이기 때문에 해독을 못한다는 것입니다.그 중에서 일부는 해독할 수 있는 글자도 있기는 합니다.일부 학자들은 그것이 '고죽국'의 글자라고 하는데요, 고죽국은 고조선의 제후국이었습니다.분명히 한글 이전에 한자가 아닌 북방 고유문자가 존재했다는 사실입니다.우리 역사는 역사적인 사실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자, 언어 등도 깊이 연구될 때 우리 역사를 완전히 회복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8-30 조회 1529
  • 강원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신남마을 성황제
    강원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신남마을 성황제      제명 : 성황제신격 : 남성황(엄씨할아버지), 여성황(처녀)제당 : 남성황당(마을 입구 산자락), 여성황당(마을 뒤 산자락 끝부분)일시 : 음력 1월 14일~15강원 삼척 해신당 여성황(처녀)지역 : 강원도 삼척시 갈남리명칭 : 여성황제명 : 해신제신격 : 해신당의 주신격인 처녀에 대해서는 애바위와 관련된 전설이 전하는데 이 마을에 사는 처녀 총각이 서로 좋아하는 사이였다고 한다. 처녀는 매일 바다에 나가서 해초를 뜯어 왔는데 그 때마다 총각이 뗏목으로 애바위까지 태워주곤 하였다. 총각이 육지에 돌아와 있는 동안 갑자기 폭풍우가 몰아 닥치고 파도가 거세게 일어나 처녀가 휩싸여 죽고 말았다. 그래서 그 바위를 애바위라고 하는데 이후에 고기가 잡히지 않았다고 한다.관련설화 : 어느 날 마을 어부의 꿈에 처녀귀신이 바다 속에서 나타나기에 그 곳에 가니 처녀의 시체가 물에 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육지에서 장사를 지내 주었더니 풍어가 되었다 한다. 처녀의 시체를 건진 해변가 근처에 향나무가 있으므로 이 나무에 처녀의 신을 모셔 놓고 매년 제사를 지내다가 해신당을 짓고 제사를 올린다. 처녀의 신을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처녀를 위로하기 위해서 남자가 필요하므로 남자의 상징인 남근을 깎아 바치고 풍어와 안전을 기원한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매년 남자들이 정성껏 향나무로 남근을 깎아 바치는 것이 중요한 의례가 되었다.해신당에는 ‘옛날에 청춘남녀가 해신당 북쪽 애바위란 곳으로 놀러간 후 남자가 여자를 그곳에 내려놓고 잠시 집으로 와 일을 하다가 다시 애바위로 가려고 했다. 데리려 가려고 하자 마침 큰바람이 불어와 배를 띄우지 못하게 되었고, 처녀는 그곳에서 날 실으러 오라고 애를 쓰며 소리치다가 기진맥진하여 숨을 거두었다. 그 후 언젠가 어업이 잘 되지 않던 한 어부가 그곳에서 우연히 오줌을 갈긴 후 꿈에 한 여인이 나타나 현몽을 하여, “네 소원을 들어주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처녀신과 남근봉헌 이야기지역 : 강원도 삼척시 신남마을줄거리 : 애바위 전설은 마을에 사는 처녀 총각이 서로 좋아하는 사이로 처녀는 매일 바다에 나가 해초를 뜯는데 총각이 뗏목으로 애바위까지 데려다 주었다. 하루는 총각이 육지로 돌아오는 동안 폭풍우가 닥쳐 처녀가 그만 죽고 말았다. 그 후부터 고기가 잡히지 않았다. 어느 날 어부의 꿈에 처녀귀신이 바다 속에 나타나 그 곳에 가보니 처녀의 시신이 떠올라 장사지내주니 풍어가 되었다. 매년 남자들이 향나무로 남근을 깎아 바쳤다.등장인물 소개* 처녀신 - 20대 섬 처녀. 생활력이 강하고 예쁜 얼굴. 한복을 입었음. 해초를 뜯으러 갔다가 파도에 휩쓸려 죽었는데 신으로 좌정되었음.* 총각 - 20대 섬 총각. 처녀와 결혼을 약속한 사이.* 어부 - 40대.배 경(1) 시대 : 옛날(2) 공간 : 섬마을, 바다 가운데 있는 바위, 절벽에 있는 해신당(3) 지역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신남마을분 류 : 풍어의 여신애니메이션 시나리오 : “아들 하나만 점지해 주십시오.”“오늘 출항을 합니다. 고기를 많이 잡게 해 주십시오.”사람들이 오늘도 해신당에 향나무로 남근을 깎아 바치며 기원을 합니다.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해신당에 남근을 봉헌하게 된 유래가 있답니다. 옛날 옛날에 이 마을에 서로 사랑하는 처녀와 총각이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성실하고 누구보다 부지런했습니다. 처녀는 매일 바다 가운데 바위로 해초를 뜯으러 다녔습니다. 총각이 날마다 배로 데려다 주고 데려오고 했습니다. “오늘은 날씨가 참 좋아. 좋은 미역을 많이 뜯을 수 있겠어.”“그럼 오늘은 빨리 데리러 올게.”총각은 처녀를 바위에 내려주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점심때가 지나 총각은 처녀를 데리러 가려고 바닷가에 배를 댔습니다. 그때였습니다.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오더니 비바람이 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다가 큰일 나겠네. 빨리 가야겠군.”총각이 배에 오르려고 하자 바닷가에서 집으로 돌아가려던 사람들이 총각을 막았습니다.“지금은 안 되네. 조금 기다려 보세.”총각은 잠시 기다리기로 했습니다. 한차례 몰려오다 그치겠지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빗줄기는 굵어지고 파도는 거칠어졌습니다.“이러다가는 정말 안 되겠어요. 절 기다리고 있을 거예요. 가봐야겠어요.“안돼. 그러다 자네 큰일 나.”마을 사람들은 총각이 배를 타지 못하도록 붙들었습니다. “제발 가게 해주세요. 제가 가지 않으면 파도에 휩쓸러 죽게 될지도 몰라요. 가야 됩니다.”총각이 애걸을 했지만 마을 어른들은 막아섰습니다.비바람은 저녁이 되어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다음날 아침이 되었습니다. 날씨는 언제 그랬느냐싶게 화창하게 개었습니다. 총각은 얼른 배를 탔습니다. 처녀가 제발 무사하기를 빌었습니다.총각이 바위에 도착하자 처녀는 오간 곳이 없었습니다. 총각은 바위에서 목 놓아 처녀를 불렀습니다. 아무런 대답이 없었습니다. 총각은 힘없이 돌아 올 수밖에 없었습니다.그때부터 사람들은 처녀가 해초를 뜯다 파도에 휩쓸러간 바위를 애바위라 불렀습니다. 처녀가 죽고 난 다음부터는 마을사람들이 배를 타고 고기를 잡으러 나가면 고기가 잡히지 않았습니다. 배사고도 잦았습니다. 어느 날 한 어부의 꿈에 처녀가 나타나 향나무에서 자기를 위해 제사를 지내달라고 했습니다. 어부는 정성껏 제물을 장만해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리고 고기를 잡으러 갔습니다. 그러나 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했습니다. 그 다음날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어부는 실망하고 주막에 들러 술을 마셨습니다. 술에 취해 돌아오는 길에 어부는 화가 나서 향나무에 대고 오줌을 쌌습니다.어부는 다음 날 고기가 잡히지 않지만 또 다시 배를 타고 고기를 잡으러 갔습니다. 그런데 그날따라 많은 고기가 잡혔습니다. 어부는 곰곰이 생각해봤습니다. 다른 날과 별다른 일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향나무에 오줌을 쌌던 것이 생각났습니다.어부는 마을 사람들과 의논하여 해신당을 짓고 처녀의 원혼을 모셨습니다. 그리고 향나무로 남근을 깎아 받쳤습니다. 그 뒤부터 고기를 잡으러 나가는 배마다 만선이 되어 돌아왔습니다. 마을사람들은 아들 낳기를 바라면 남근을 깎아 처녀 신에게 받쳤습니다. 고기를 잡으러 갈 때도 남근을 깎아서 바쳤습니다.이 동영상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만 지원 가능 합니다.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 해신당지역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신남마을제명 : 해신제제당 : 해신당 (죽은 처녀를 서낭으로 모시는 당), 본성황당 (마을의 남성황당)위치 : 신남마을(섶내미마을) 산기슭에 큰당이라 불리우는 ‘본서낭당’ 이 위치하며 해신당은 마을 뒤쪽을 북쪽에서 감싸고 있는 산의 끝자락에 그 모양이 마치 남근의 뿌리처럼 생긴 곳에 위치한다.형태 : 해신당은 기와지붕에 정면은 넉넉한 한 칸으로 약 3미터쯤 되며 측면은 두 칸이고 이 역시 3미터 정도로 충효각 형태의 건물이다.좌정된 신격 : 해신당의 주신격인 처녀(애바위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짐)와 마을시조인 엄씨할아버지를 모시는 남성황당특징 : 안인진리의 해랑당 설화, 주문진 진이서낭당 설화, 삼척 해신당 설화는 동해안의 서낭설화의 모체를 이루고 있으며 해신제는 동해안에서 가장 잘 알려진 제의로 지금도 남근봉헌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사는 두 성황당에서 동시에 지내는데 5명의 제관 중 세 명은 남성황당으로 가고 두 명은 해신당에 가서 제를 올린다. 마을의 남성황당은 본성황당이라고 하는데 마을시조인 엄씨할아버지를 모시고 있으며 해신당은 죽은 처녀를 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향나무로 깎은 남근을 바치고 있다.제의 소멸과 변천 : 지금은 관광문화상품으로 발전하여 해신당 공원이 조성되어 해신당 이외에도 어촌민속전시관, 대형남근조각품들이 설치되어 있고 바다에는 애랑낭자가 재현되어 있어 흥미와 이색적인 볼거리가 되고 있으며 어촌민속전시관에는 성(性)을 소재로 한 성민속실이 눈길을 끈다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해신당지역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신남마을제명 : 해신제제당 : 해신당 (죽은 처녀를 서낭으로 모시는 당), 본성황당 (마을의 남성황당)위치 : 신남마을(섶내미마을) 산기슭에 큰당이라 불리우는 ‘본서낭당’ 이 위치하며 해신당은 마을 뒤쪽을 북쪽에서 감싸고 있는 산의 끝자락에 그 모양이 마치 남근의 뿌리처럼 생긴 곳에 위치한다.형태 : 해신당은 기와지붕에 정면은 넉넉한 한 칸으로 약 3미터쯤 되며 측면은 두 칸이고 이 역시 3미터 정도로 충효각 형태의 건물이다.좌정된 신격 : 해신당의 주신격인 처녀(애바위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짐)와 마을시조인 엄씨할아버지를 모시는 남성황당특징 : 안인진리의 해랑당 설화, 주문진 진이서낭당 설화, 삼척 해신당 설화는 동해안의 서낭설화의 모체를 이루고 있으며 해신제는 동해안에서 가장 잘 알려진 제의로 지금도 남근봉헌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사는 두 성황당에서 동시에 지내는데 5명의 제관 중 세 명은 남성황당으로 가고 두 명은 해신당에 가서 제를 올린다. 마을의 남성황당은 본성황당이라고 하는데 마을시조인 엄씨할아버지를 모시고 있으며 해신당은 죽은 처녀를 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향나무로 깎은 남근을 바치고 있다.제의 소멸과 변천 : 지금은 관광문화상품으로 발전하여 해신당 공원이 조성되어 해신당 이외에도 어촌민속전시관, 대형남근조각품들이 설치되어 있고 바다에는 애랑낭자가 재현되어 있어 흥미와 이색적인 볼거리가 되고 있으며 어촌민속전시관에는 성(性)을 소재로 한 성민속실이 눈길을 끈다개괄신남리 해신제는 동해안에서 가장 잘 알려진 제의로 지금도 남근봉헌(phallicism)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을의 남성황당은 본성황당이라고 하는데 마을시조인 엄씨할아버지를 모시고 있으며 해신당은 미역을 따다가 죽은 처녀를 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향나무로 깎은 남근을 바치고 있다. 제사는 정월 대보름과 시월 첫 말날에 지낸다. 제사는 두 성황당에서 동시에 지내는데 5명의 제관 중 세 명은 남성황당으로 가고, 두 명은 해신당에서 가서 제를 올린다. 제물은 쇠고기와 어물을 주로 쓰고 어촌계에서 경비를 마련한다.제의내용해신제는 본당(엄씨 할아버지 서낭당)에 먼저 가 축을 읽으며 제를 올린다. 그 후 제물을 당주 집으로 철수한 후, 다시 제물을 차려 해신당 (작은당)으로 가서 제를 올린다(축이 없음). 걸리는 시간은 보통 4시간여가 소요된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당주 포함 제관은 7명이었고 남근도 7개를 깎았다. 정월대보름과 10월 첫 번째 말일(午日)에 해신제를 올리는데, 부정을 치기 위하여 금줄을 1주일 전부터 친다. 금줄에는 창호지 개수를 홀수로 하여 같이 묶고, 또 황토를 그 앞에 70㎝ 간격으로 놓는데 그것도 홀수로 놓는다. 제관은 생기를 보아 1주일 전쯤 선출하고, 선출된 제관 중에서 남녀 부부가 모두 생기에 맞는 부부 한 쌍을 선정하여 당주로 삼고 당주 집에서 제물을 장만한다.당주가 된 두 내외가 제물을 만지는데 여자는 메(밥)만 만질 수 있고, 나머지 제물은 모두 남자가 장만한다. 어물은 이 마을에서 잡히는 것은 모두 올리는데 어물의 꼬리는 다듬어 올린다. 제물은 풍성하게 하여 송아지도 한 마리 잡았다. 편(떡)은 서되 서 홉을 하는데 반드시 백설기만 사용했다. 제주는 금줄을 칠 때 본당 아래 쌀 3되와 누룩으로 담가 제사 당일 사용했다. 제가 끝나면 당주 집에 모여 음복을 한다. 아침이 되면 마을주민들이 당주 집으로 와서 아침을 같이한다. 제에 올렸던 소고기를 미역과 같이 국을 끓여 대접한다. 또 소고기는 꼬치를 만들어 집집마다 나눠주었다.신격처녀신 : 처녀신은 빨간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를 입고 머리는 쪽을 지었다. 손은 앞에 모으듯이 되어 있는데 왼손은 약간 아래로 내려져 있고 오른손은 마치 무엇을 쥐고 있는 듯이 하고 있다. 처녀신은 해신당의 주신이며 재난을 막고 풍어를 관장하는 여신으로 남근을 봉헌 받고 있다.신화마을에 사는 처녀 총각이 서로 좋아하는 사이로 처녀는 매일 바다에 나가 해초를 뜯는데 총각이 뗏목으로 애바위까지 데려다 주었다. 하루는 총각이 육지로 돌아오는 동안 폭풍우가 닥쳐 처녀가 그만 죽고 말았다. 그 후부터 고기가 잡히지 않았다. 어느 날 어부의 꿈에 처녀귀신이 바다 속에 나타나 그 곳에 가보니 처녀의 시신이 떠올라 장사지내주니 풍어가 되었다. 매년 남자들이 향나무로 남근을 깎아 바친다제당의 형태남근장승지금은 관광문화상품으로 발전하여 해신당 공원이 조성되어 해신당 이외에도 어촌민속전시관, 대형남근조각품들이 설치되어 있고 바다에는 애랑낭자가 재현되어 있어 흥미와 이색적인 볼거리가 되고 있으며 어촌민속전시관에는 성(性)을 소재로 한 성민속실이 눈길을 끈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1-27 조회 1506
  • 우리역사넷 URL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view.do?levelId=nh_001_0010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1-27 조회 1483
  • 朝鮮(조선)은 무슨뜻인가?
    朝鮮(조선)은 무슨뜻인가? 그 어느 누구도 명확한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대개 朝鮮(조선)이란 첫도읍의 이름인 '아사달'을 따라 아침을 뜻하는 朝를 썼다고 하지만, 이런 해석은 고대에 우리나라 지방명을 漢語(한어)로 번역하여 썼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그러나 경덕왕 이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지방명은 대개 음차이며 朝鮮(조선)이란 이름이 尙書(상서)에 처음 나오는 것으로 봐서 이는 漢譯(한역)이 아니라 음차이어야만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朝鮮이란 우리고유어를 음차한 글자로서 쉽게 한자어로 쓰면 鳥白國(조백국)의 뜻이며 혹 鳳凰白國(봉황백국)이라고 해도 될 것이다. 그 이유를 우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鮮자로부터 알아보기로 하자.鮮(선)의 뜻어느시댄가 단군왕검이 나라를 세우고 자신에게 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자신의 아버지를 하늘에서 내려온 雄(웅)으로 신격화하고 어머니를 곰이라 하여 그 시대의 동물숭배자들과 융화를 꾀하였던 땅이 곧 백산(白山)의 영역안에 있었다. 고대국가는 보통 그 첫도읍의 이름을 국가명으로 삼는 경우가 많은데 단군왕검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단군왕검이 처음으로 세운 국가의 도읍이 바로 白山(백산)의 줄기에 있었으며 白이란 뜻의 관형어가 우리말로 '센'이므로 국가명에 鮮을 썼던것이며 이는 '센'으로 읽어야만 한다. 오히려 朝鮮이란 국명의 주요점은 朝에 있는 것이 아니라 鮮에 있다. 그 증거가 대동운부군옥에 있는데 朝鮮(조선)과 震檀(진단)은 같은 이름이라고 하였다.震檀(진단)의 震은 '센'을 음차한 글자이고 그 뜻은 곧 白이며, 檀은 박달나무와 아무런 연관이 없고 더군다나 '밝음'과도 아무런 연관이 없는 그저 오늘날 '고을', '마을', '실'과 같은 지명어미이다. 삼국사기에는 呑(탄)을 많이 썼고 중국사서에서는 屯이라 하였던 말이다. 따라서 震檀「센단」이란 그저 白國(백국)의 뜻이다. 따라서 朝鮮(조선)에서 중요한 글자는 鮮으로 '센'으로 읽으며 白의 뜻이고 震檀(진단)에서 중요한 글자는 震으로 '센'으로 읽으며 白의 뜻이다.朝(조)는 '돌'의 음차일까?이유는 알수없지만 우리조상들은 하늘을 날아다니던 '새'를 숭상하였다. 고조선 유민이 세웠다던 辰韓(진한)으로부터 출발한 신라는 '斯盧(사로)'라고 하였던 국가인데 '盧'는 지명어미 '나라'의 뜻이며 '斯'는 우리말 '새'를 음차하였음이 분명하다. 역시 新羅(신라)도 삼국사기에는 새롭게 번창하느니 뭐니 견강부회하여 써놓았지만 이 역시도 '새라' 즉 '새의 나라'라는 말이다.그런데 '새'를 뜻하던 다른 말이 하나 더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돌'이다.[1] 이 말은 'ㄱ'곡용을 하던 체언으로서 그 흔적이 '닭'에 남아 있음은 '돌'에 주격조사 '이'를 붙이면 '돌기'가 되는데 오늘날 문법에 곡용을 허용하지 않고 체언뒤에 받쳐쓰기때문에 '닭'으로 변하였음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새'를 빗대어 삼국사기에 '鷄林(계림)'이라 하였었다. 아직도 '돌'이 붙은 새이름이 몇개 보이는데 '까투리'와 '팥닭' 즉 뜸부기이다. '수리'란 맹금류를 칭하는 이름이었던 것처럼 '도리'를 접미어로 붙인 새들은 머리에 볏이 있거나 깃이 화려하다고 볼수있을까? 닭은 볏이 뚜렷하고 까투리는 암꿩으로 그 깃이 화려하여 박제를 많이 하였던 새이고 팥닭은 화려하거나 크지는 않지만 머리에 볏같은 깃이 조그맣게 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새의 머리에 난 '볏'을 빗대에 '벼슬'한다고 하였던 것이며 우리나라의 상징은 예로부터 봉황이었다. 따라서 원래국호 '센「白」'을 鮮의 음차하고 그 앞에 국가의 상징이었던 '볏달린 새'를 뜻하던 '돌'을 그 앞에 붙여 '돌센'이라고 하였다고 짐작할 수 있다.朝의 음은 고대에 '조'가 아니라 '됴'이었을 것이다. 朝는 倝와 舟가 합쳐진 글자인데 舟의 小篆(소전)이 月의 楷体와 비슷하였기에 朝의 형태를 띄었지만 음은 舟를 따라야 한다. 舟의 음이 '듀'이거나 朝의 음이 '됴'라 하더라도 이는 '돌'과는 좀 거리가 먼 글자였는데 왜 굳이 朝를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혹 朝의 옛음가에 ㄹ받침이 들어갔던가?여기서 우리는 주변국가의 이름에서 朝鮮의 음가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金(금)의 원래 국호는 朱申(주신)이며 또한 朱里眞(주리진)이라고도 한다. 里로 표기되는 발음은 중국인들이 자기네들 글자로 표기할때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朝鮮이란 표기도 그 중간에 里와 같은 ㄹ발음이 빠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렇다면 朝鮮도 '됴센'도 '됼센' 또는 됴리센'으로 읽을 수 있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며 이는 곧 鳥白의 뜻이 된다.-------------------------------[1] www.sejong.or.kr의 '닭'에 대한 풀이 참조.소벌가리 (2010-10-23 11:33:36)    대한제국 때 대됴션협회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이를 살필 때 적어도 최근까지 朝鮮은 됴션이라 한 듯합니다. 몽골이나 만주어에 Cioohiyan이라 하고 있구요. 여진의 다른 표기들로부터 Jurjin 또는 Jurijin이라는 복원은 가능하나 됴션의 경우 교체 표기가 보이지 않습니다.됴션이 갑자기 됼센/됴리센이 되고 이게 鳥白의 뜻이 된다는 건 억측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불어 /센/이 /흰/의 뜻을 가질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소벌가리 (2010-10-23 11:39:25)    단군은 檀君뿐만 아니라 壇君이라고도 적으므로 /단/이 박달나무檀에 한정되지 않고 음차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텡그리즘의 상징에 해당되는 神壇樹 또한 박달나무檀과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박달나무檀으로부터 신단수=박달나무, 배달민족이란 따위의 말을 지어낸 것은 후대의 언어상 상상력, 민간어원일 수 있습니다.박구위瓠公 (2010-10-23 15:27:46)    20세기 초만 하더라도 '센'의 뜻이 白인 경우가 있었죠.아래 문헌을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白狗洞을 '센갯골'이라고 하였습니다.즉 白을 '센'으로 狗를 '개'로 洞을 '골'로 읽은거죠.韓澄, 조선말 地名 서울을 中心하고. 한글. 5 13 – 14 (1937).박구위瓠公 (2010-10-23 15:29:39)    또한 저는 檀을 '박달'로 읽은 적이 없는데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요?전 檀이 삼국사기 谷에 해당되는 지명어미 呑과 같은 종류라고 했습니다.소벌가리 (2010-10-23 19:53:12)    박달나무 부분은 님께 드린 말씀이 꼭 아님을 밝힙니다.위에서 하신 예에 쓰인 말이 고조선 때 쓰였을 가능성은 어떻게 짚을 수 있는지요? 센은 /세-다/(힘이 세다, 셈을 하다)와 관형형 /-ㄴ/이 더한 말이라고 하는 게 옳지 않는지요?소벌가리 (2010-10-23 21:08:50)    머리카락이 하얗게 되는 것을 이르는 말에 /세-다/도 있군요.http://korinfo.sejong.or.kr/SNView2.php?tbl=HANEthymoTab&titleID=2442/셰-/ 또는 /세-/는 영어로 turn white, gray박구위瓠公 (2010-10-24 03:33:17)    모든 추정이라는게 그렇지만 저게 고조선때 쓰였을 증거가 있냐면 없죠.어디까지나 추정이니까요.....* '센'에 대해서만 제 생각을 더 말씀드리겠습니다.소벌가리님도 아시겠지만...우리말 고대국어에는 /h/가 없었다고 주장하시는 언어학자분들이 좀 계시죠.저도 거기에 동의하고요...중세국어에 '희다'는 중세국어에서 'ㅡ' 모음대신 '아래아'를 썼었죠.오늘날발음으로 '해다' 또는 '헤다'와 비슷하죠.언어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오늘날 ㅎ발음은 주로 ㅅ에서 분화되었고,그밖에 ㄱ과 ㄷ에서도 왔다고 주장하죠.따라서 중세국어 '헤다'는 고대국어에서 '세다'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즉, 白의 관형는 '센'으로 추정할수 있다는거죠.이런걸 많은 이들이 ㅎ의 구개음화라고 주장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저는 이게 고대국어의 잔재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심 -> 힘세바닥 -> 혀바닥숭내 -> 흉내숭보다 -> 흉보다성님 -> 형님...또한 이웃나라 만주족도 白이란 말을 '센'과 비슷하게 말합니다.금사국어해 권5 沙琿噶珊... 沙琿白色也, 噶珊鄉也.금사국어해 권8 舍音白色也. 卷二作斜也, 卷三作斜野, 併改.금사국어해 권10 珊延, 白色也. 卷十三作鄯陽.만주어 白이 한자 沙琿, 舍音, 珊延등으로 음차되는군요그래서 單大嶺을 '선대령'으로 읽고 白山脈이라고 하기도 하죠.이런것들로 미루어보아 저는 고대국어에서 白의 뜻이 '센'이었다고 보는거죠.소벌가리 (2010-10-24 10:53:47)    터키어 /sarɨ/는 몽골문어 /sira/처럼 ‘노랑․금발․창백한’을 이른다, 한국어 /희-/(白)가 비교된다, 힘과 심의 관계는 알타이어 방언의 음운규칙의 연장이라고 저도 최근의 졸저에서 말한 바 있습니다.금사국어해의 표기는 만주어 /šanggiyan/, /šaniyan/에 해당될 듯합니다. 이들 단어가 됴션의 鮮과 관련된다는 증거는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요?박구위瓠公 (2010-10-24 13:33:41)    šaniyan과 鮮의 관련증거를 찾기란 불가능할것같은데요...그냥 뭐 발음이 비슷하기도 하고 고사기록에 白山이 나오니 추정할따름이죠. -------------鮮의 음은 '센'으로 白의 뜻이고요...朝를 '도리'로 읽어야 한다고 했지만 좀 다른 것 같습니다...중국사서에 朝鮮의 朝는 원래 '도리' 또는 '도르'를 적었어야 하는 글자였지만 1) 이미 구개음화가 일어난 후의 기록이라서 朝로 적었거나 2) 우리말 '도르'가 중국인의 귀에 '조'로 들렸기에 朝로 적었을 것 같습니다.智證(지증)마립간을 다르게 적은 것을 열거해보면요.[1]智大路 (삼국사기)智度路 (삼국사기)至都盧 (냉수리비)대로(大路)와 도로(度路, 都盧)를 증(證)으로도 적었음은 '도르'를 '조(朝)'로도 적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합니다.대략 뭐 이런 변화를 거치지 않았을까요?도르센 > 도ㄹ센 > 조ㄹ센 > 조센 > 朝鮮 ----------------------------------[1] 최범영 (2010) 말의 무늬. p231. 종려나무…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2-12 조회 1424
  • 자미원국에 대한 소회
                                                   紫薇垣局에 대한 소회     북극성을 중심으로 紫薇垣局과 天市垣局 그리고 太薇垣局, 少薇垣局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성운의 별자리가 땅에 그 기운을 드리운 곳을 말한다. 별자리 이름을 풍수에 도입한 계기는 천지인 삼합사상으로 대표되는 되는 동양사상에 근본한다. 楊筠松의 풍수이론도 九星을 비롯한 별자리의 이름을 끌어다 산의 형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별자리와 산천의 형세는 어떤 관련성을 가진 것일까!! 특징적인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당시 사람들의 별자리인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별이 하늘에 떠있는 단순한 존재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길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곳 자미원은 우주의 중심으로써 인간의 생명을 주관하는 곳으로 인식하였는데, 이곳에서 생명이 시작되어 죽어서 돌아가는 것도 자미원이라 인식했다. 특히 칠성판은 자미원을 상징하는 것으로 그렇기 때문에 목숨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인간의 숙명을 얘기한다. 여기에 더해서 천문관측을 통해 방위관념이나 계절, 일조량 등의 지식축적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대사회에서 인간세상과 같은 궁궐이 하늘에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자미원은 하늘의 왕궐이다. 이러한 사상적 바탕에 근거하여 중국의 자금성도 유래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자미원국이 세인들에게 강하게 각인된 계기는 육관도사의『터』라는 책에 소개되면서 부터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이 첫 번째 가는 자미원국에는 풍수지리에서 가장 좋다는 三吉六秀와 九星, 正體가 모조리 갖추어진 자리를 말한다. 이런 대명당은 지구상에서는 오직 한 자리밖에 없으며 절대 두 자리가 없는 천하 유일의 대명당이라고 일러왔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이곳에 묘를 쓰면 세계를 지배하는 큰 인물이 태어난다고 하는 다소 과장된 주장을 하였다. 이러한 자미원국을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 책은『人子須知』이다.『인자수지』에는 육관도사의 주장과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여 자미원국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육관도사가 음택으로 설명하였다면,『人子須知』는 帝都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설명하였다. 다시 말해서 北幹龍과 中幹龍 그리고 南幹龍으로 대변되는 중국대륙의 대간룡에 결혈한 옛 왕조의 도읍지가 이루어진 곳으로 묘사하였다.   『人子須知』에는 황제의 도읍지는 星垣에 合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대개 帝都는 天子의 京畿요, 萬方의 樞會이며 행정령이 이곳에서 나와 전국을 다스리고 四夷를 어루만지며 백관에 의지하여 만민을 거느리는 것이니 천하의 至尊地인 것이다. 따라서 지리의 大로 따져보면 여기에서 더 중요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반드시 위로는 天星垣局에 합하고 아래로는 正龍의 왕기를 모은 연후여야 帝都는 건립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서 하늘에서는 합당한 星局과 합하고 지상의 正龍의 지기가 결합한 곳이라야 帝都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자미원국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紫薇星垣은 천황의 辰極이니 太乙이 常居하는 곳이요 북극오성은 정히 亥地에 臨하였으니 天帝의 最尊이 된다”고 하여 자미원국이 가장 존귀한 존재라는 것은 인정하였다. 또한, 역대 중국의 帝都들을 垣局과 결합된 곳으로 묘사하는데, 이러한 원국이 결합한 帝都로 북경과 서안, 낙양, 남경등을 들고 있다. 중국의 북, 남 중간룡으로 대표되는 삼대간룡과 연결시켜 설명하고 있어 하늘의 성원과 땅의 정룡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논리를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북간룡으로 결혈한 곳으로 북경을 중간룡의 결혈지로 서안과 낙양을 그리고 남간룡의 결혈지로 남경을 들고 있다. 이러한 帝都들조차도 자마원과 천시원 그리고 태미원으로 대변되는 三垣天星의 기운을 받아서 이루어진 결혈이라 하였다.    한편,『疑龍經』「衛龍篇」에는 자미원국과 천시원과 태미원국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위룡에서 만들어진 명당수가 가로로 길게 혈처를 감싸 안으면 이는 太微垣이며, 혈처를 향해 곧장 쏘듯 들어오면 이곳은 紫微垣”이라고 하였다. “여러 곳에서 흘러 나온 물들이 달려들면 天市垣”이라 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平洋 혹은 洛陽은 자미원의 땅기운이 완연하며 河中과 河曲은 천시원에 해당한다. 關中은 천시원에 해당되며 伊洛지방 역시 천시원에 부합한다. 燕山은 천시원의 기운을 잘 받아서 형성된 곳이며 역시 천시원이 碣石지방을 둘러 감싸고 있다. 長江이 굽이굽이 흐르는 물가에 도읍지가 될 만한 큰 혈처 3개가 맺혔는데 3개의 도읍지 혈처 앞에는 물이 가운데로 흐른다. 3원 가운데 중원에 해당하는 자미원은 이미 제왕이 거처했던 땅인데 다만 이 원성은 땅 기운이 새어나갔다”고 하여 자미원과 태미원국 그리고 천시원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특징적인 모습도 제시하였다.    따라서 자미원국만을 논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미원국이 세상에 존재하는지 또한 어떤 모습이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또한 자미원국이 어떤 특징적인 발복이 있는지에 대한 언급도 없다.     그러나 자칫 현실속에 존재하는 것처럼 잘못 알려지지는 않을지 염려도 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풍수가 현실에 바탕 둔 논리적 영역이 아닌 마치 신비한 영역처럼 묘사되는 것이 풍수를 이해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생각하게 한다. 반면에 이러한 자미원국은 풍수를 통한 희망적인 메시지를 제시하였고 미래에 대한 기대와 바람을 표출하는 방편으로 활용하였다고 할 수도 있다. 자미원국, 박정해, 풍수, 정통풍수지리학회…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8-24 조회 1386
  • 부도지 징심록 등 고대사서
    우리역사의 진실 http://coo2.net/bbs2/history.htm?bo_table=bmap&bo_cate=4&wr_id=40 …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11-22 조회 1365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1-2016 ITNAN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