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사

상기내용을 모두 옳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우리역사를 찾아내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달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19-12-30 12:37 조회 2,038 댓글 0

본문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달력

 

 

시골에서 자랐던 필자의 기억으로는 하늘의 별들이 무척이나 컸었고, 마치 땅으로 떨어질 것처럼 가까이 느끼기도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까만 하늘에 녀무나 맑게 보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우중충한 요즘의 서울하늘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추억이기에, 그러한 정서를 우리의 후손들이 경험할 수 없다는 현실이 더욱 안타깝다.

 

헤아릴 수도 없이 많지만현재의 과학으로는 그 신비함을 아직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하늘에 있는 별이기도 하다. 그 중 력()과 관련이 있는 별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 생활에 가장 중요한 달력이 별자리의 변화를 관찰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아는 분이 얼마나 될까?

 

()을 산정하기 위해서 관찰했던 중요한 별자리는 태양과 달, 28(宿), 북두칠성(北斗七星), 오성(五星)이다. 이들의 위치변화를 관찰하여 하늘의 경도(經度)와 위도(緯度)를 산출하고 또 사계절 12월의 정확한 력()을 산출하게 된다. 이들의 별자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태양은 궤도인 일전(日纏)을 따라 공전하는데 1년이 걸리며, 달은 자전하면서 지구를 공전하며 회전하는 월리(月離)가 한 달이 걸린다.

그 다음 28(宿)는 하늘을 동서남북(東西南北)으로 구분하여 7개씩 있는 별자리를 의미한다. 이 별들은 12()와 관련이 있다.

 

먼저 동쪽의 청룡(東靑), 혹은 창룡(蒼龍)이라고도 하는 7개의 별이 각항저방심미기(角亢氐房心尾箕)이다. 각각 살펴보면,

각수(角宿)는 이무기로 상징되고 항수(亢宿)는 용()으로 상징되는데 이를 대표로 용()으로 하였고, 담비인 저수(氐宿)와 토끼인 방수(房宿), 여우인 심수(心宿)의 대표를 토끼()로 하고, 호랑이인 미수(尾宿)와 표범인 기수(箕宿)의 대표를 호랑이()로 하여 12()에서 동방(東方) 인묘진(寅卯辰)으로 나타낸다.

 

다음 남쪽의 주작(朱雀), 혹은 주조(朱鳥)라고도 하는 7개의 별은 정귀류성장익진(井鬼柳星張翼軫)으로서,

큰사슴인 정수(井宿)와 양인 귀수(鬼宿)의 대표를 양()으로 하였으며, 노루인 유수(柳宿)와 말인 성수(星宿), 사슴인 장수(張宿)의 대표를 말()로 하고, 뱀인 익수(翼宿)와 지렁이인 진수(軫宿)의 대표를 뱀()으로 하여 12()에서 남방(南方) 사오미(巳午未)로 나타낸다.

 

서쪽의 백호(白虎)라고 하는 7개의 별은 규루위묘필자참(奎婁胃昴畢觜參)으로서,

이리인 규수(奎宿)와 개인 루수(婁宿)의 대표를 개()로 하였으며, 꿩인 위수(胃宿)와 닭인 묘수(昴宿), 새인 필수(畢宿)의 대표를 닭()으로 하고, 원숭이인 자수(觜宿)와 유인원인 참수(參宿)의 대표를 원숭이()로 하여 12()에서 서방(西方) 신유술(申酉戌)로 나타낸다.

 

북쪽의 현무(玄武)라고 하는 7개의 별은 두우여허위실벽(斗牛女虛危室壁)으로서,

게인 두수(斗宿)와 소인 우수(牛宿)의 대표를 소()로 하였으며, 박쥐인 여수(女宿)와 쥐인 허수(虛宿), 제비인 위수(危宿)의 대표를 쥐()로 하고, 돼지인 실수(室宿)와 설유인 벽수(壁宿)의 대표를 돼지()로 하여 12()에서 북방(北方) 해자축(亥子丑)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28개의 별자리가 하늘의 동서남북에 퍼져 있고 가운데의 북쪽에 자미성(紫微星)이라고도 하는 북극성(北極星)이 위치하며, 그 주변에 북두칠성(北斗七星)이 위치한다. 이 북두칠성(北斗七星)은 우리들에게 특히 친밀하게 다가오는 별자리인데 그 형태를 알아보자. 그 의미에 대한 내용은 고급과정교재인 궁통보감 제143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BA%CF%B5%CE%C4%A5%BC%BA.JPG?type=w2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손잡이 부분 3개를 두병(斗柄)이라고 하는데, 이 두병(斗柄)이 동쪽을 가리키면 사계절 중에 봄철이 되며, 남쪽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변화하면 여름철이 되고, 가을철에는 서쪽을 가리키고, 겨울철에는 북쪽을 가리킨다.

 

두병이 동쪽을 가리킬 때 오성(五星) 중에서, 목성(木星)인 세성(歲星)이 나타나 보이게 되며, 남쪽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변화할 때 목성(木星)은 사라지고 화성(火星)인 형혹성(熒惑星)이 나타나며, 여름철의 끝 부분에 다시 사라지고 토성(土星)인 진성(鎭星)이 나타나며, 서쪽을 가리킬 때 금성(金星)인 태백성(太白星)이 나타나고, 다시 북쪽을 가리킬 때 금성(金星)은 사라지고 수성(水星)인 진성(辰星)이 나타나게 된다. 이들 오성(五星)은 각각 72일씩 보이게 되는데, 이를 더해보면 360일이 된다.

 

다음 그림을 보자.

 

28%BC%F6.JPG?type=w2

 

 

음력 11월의 동지(冬至) 시점에서의 28(宿)와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위치이다. 여기에 12()의 방위(方位)도 표시했다. 동지(冬至)의 시점에서는 두병(斗柄)이 정북(正北)28(宿)의 허수(虛宿)를 가리키게 된다. 12지의 방위(方位)로 보면 자수(子水)의 위치이다. 여기서 동쪽으로 점점 그 위치를 바꾸게 되는데 남쪽과 서쪽을 거쳐 한 바퀴 회전하면 1년이 소요된다.

 

따라서 28(宿)에서 북쪽의 허수(虛宿)와 남쪽에 있는 성수[星宿, 이를 엄밀히 말하면 장수(張宿)가 된다.]를 일직선으로 하여 경도(經度)를 표시하였고, 동쪽에 있는 방수(房宿)와 서쪽에 있는 묘수(昴宿)를 일직선으로 하여 위도(緯度)를 표시했다. 이를 12()로 보면 자오선(子午線)과 묘유선(卯酉線)이 된다. 두병(斗柄)이 축()의 위치를 가리키면 12월이 되며, ()의 위치를 가리키면 1월이 된다.

 

시간의 흐름에 대한 고대의 산출법은 흙으로 축대를 쌓아 세 곳에 두어 그림자를 관찰하는 방법과, 대나무를 두어 관찰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후에 물로서 산출하는 방법도 사용하게 된다. 흙으로 만든 축대와 대나무를 세우는 방법은 동쪽과 서쪽, 그리고 그 사이의 중앙 남쪽에 설치하여 그림자로서 관찰하는 방법이며, 이를 토규측영법(土圭測影法), 표간측영법(標竿測影法)이라고 한다.

 

여기서 윤달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자.

서경(書經)에서 1년은 365일과 235/940일이 되는데, 이는 곧 365.25일이 된다. 따라서 윤달을 가운데 두어야 매년 사계절이 정확히 맞게 된다고 하고 있다. 따라서 24절기(節氣)에 따라 윤달을 두게 되는데,

 

()이라고 하는 것은 태양과 달이 만나는 시점을 표현하는 것이고, ()라고 하는 것은 태양과 달, 그리고 북두칠성(北斗七星)이 만나는 시점을 표현한다. ()과 절() 사이는 한 달이 되며, ()과 기() 사이는 15일이 되고, ()와 기() 사이도 한 달이 된다. 따라서 매월에는 절()과 기()가 있게 된다.

 

만약 해당되는 달에 태양과 달이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만나지 않게 되는 달이 있다면 이 달이 윤달이 된다. 따라서 3년에 한 번 윤달을 두게 되며, 5년마다 다시 윤달을 두게 된다, 이렇게 되면 19년 사이에 윤달을 7번 두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조금 어렵지만 하도(河圖)의 선천팔괘(先天八卦)의 이치와 부합되는 사항이 된다.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이치(理致)는 바로 이러한 별자리의 오묘(奧妙)한 변화와 그에 따라 변화되는 기()의 흐름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역시 그 변화되는 오행의 흐름으로 운명(運命)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1-2016 ITNAN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