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정비결에서의 괘
페이지 정보
본문
토정비결에서의 괘
양효(陽爻)와 음효(陰爻)가 여러 가지 모양으로 모여서 나타내는 형상으로, 점치는데 사용된다. 괘는 3효로 성립되는데, 양효는 '-'모양으로 표시하여 '구(九)'로 이름 붙이고, 음효는 '--'로 표시하여 '육(六)'으로 이름 붙인다. ≪사기(史記)≫ ,삼황기<三皇紀> 에 보면 복희(伏羲)가 비로소 8괘를 만들었다고 하고, ≪경전석문(經典釋文)≫ <서록(序錄)>에는 복희가 비로소 8괘를 만들고 이어 괘를 2개씩 겹쳐서 64괘를 만들었다고 한다.

8괘란,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의 여덟 괘로, 이처럼 3효로된 것은 그대로 괘 또는 소성(小成)의 괘라고 하고, 8괘 중에서 어느 두 괘를 위 아래로 겹쳐 만든 괘를 중괘(中掛) 또는 대성(大成)의 괘라고 한다.
중괘는 위에 있는 것을 상괘(上掛) 또는 외괘(外掛)라고 하고, 밑에 있는 것을 하괘(下掛) 또는 내괘(內掛)라고 한다. 괘효(掛爻)는 반드시 밑에서부터 위로 그어 올라가야만 한다. 예를 들어서 이(離)가 상괘가 되고 감(坎)이 하괘가 되는 중괘는 처음 그은 맨 밑의 획이 음(陰)의 표시이고, 음은 육(六)이 되어서 초륙(初六), 두 번째 획은 양(陽)의 표시이고, 양은 구(九)가 되어서 구이(九二), 세 번째 획은 음이 되어서 육삼(六三), 네 번째 획은 양이 되어서 구사(九四), 다섯 번째 획은 음이 되어서 육오(六五), 맨 위의 획은 양이 되어서 상구(上九)의 명칭을 얻게 된다. 점을 칠 때에는 중괘의 6호를 가지고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주역(周易)에 보면, 괘마다 전체의 괘상(掛象), 상괘와 하괘의 관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한 괘사(掛辭)와 효마다 그 위치를 보아서 판단한 효사(爻辭)가 있어서 누구도 점쳐서 믿는 괘의 풀이를 할 수 있다. 괘사를 단(彖), 효사를 상(象)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괘사는 주(周)나라의 문왕이 만들고, 효사는 문왕의 아들인 주공(周公)이 만든 것으로 전해진다. 주의할 것은 건괘(乾掛)와 곤괘(坤掛)에 한하여 6효의 효사 이외에 '용구(用九)'와 용륙(用九)'의 효사가 있는 것이다.
출처: 두산대백과 사전 EnCyb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