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사

상기내용을 모두 옳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우리역사를 찾아내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토정비결의 작괘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1-11-27 11:46 조회 192 댓글 0

본문

토정비결의 작괘법

토정비결의 해당되는 숫자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첫째, 주인공의 당년 연령에 해당되는 숫자를 알고,
둘째, 주인공의 출생한 달에 해당되는 숫자를 알고,
셋째, 주인공의 생일에 해당되는 숫자를 알아야 합니다.

이상은 모두 음력 기준입니다.

상괘

맨 윗자리(앞자리)에 놓는 숫자를 상괘(上卦)라 하는바 태세수(太歲數)에 당년 나이 숫자를 합쳐 계산합니다.

태세란 갑자년 을축년 등 당년에 해당하는 간지로 태세의 간지는 각각 그에 매인 숫자가 있습니다.

태세의 간
 9876598765
태세의 지
 1113101013991312121311

위 표에 매인 숫자를 취하는바 예를 들어 癸未년이면 癸5 未13이니 5 + 13 = 18 이 된다.
이 태세수 18에 주인공의 당년 나이를 합쳐 8로 나누어 나머지를 취해 상괘를 놓습니다.
(나머지가 없이 0이면 8로 봅니다.)

예를 들어 32세 계미년의 상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癸 5 + 未 13 + 32 = 50 50 / 8 = 6 …… 2
나머지가 2이므로 2를 상괘(첫머리 숫자)로 놓습니다.

또는 당년 40세 주인공이 甲申년의 상괘를 얻으려면
※ 甲 9 + 申 12 + 40 = 61 61 / 8 = 7 …… 5
즉, 신수를 보고자 하는 해의 간지(干支)에 매인 숫자에 당년 나이 숫자를 합쳐 나머지 숫자 (답수가 아님)로 상괘를 정합니다.

중괘

중괘란 상괘 밑(옆)에 놓는 숫자로 당년 생월의 산지(干支)에 매인 숫자에 당년에 해당하는 음력 생일달이 크면 (30일까지 있는 달) 30을, 작으면 29일 까지 있는 달) 29를 더하여 6으로 나눈 나머지 숫자 (나머지가 없으면 6을 취용)를 취용 한다.

생월의 간
 9876598765
생월의 지
 987654987654

예를 들어 음력 7월생이면 계미년 7월의 간지는 庚申月이라
※ 庚 8 + 申 7 = 15 가 되고 계미년 7월은 대월 이므로 30을 15와 합치니
(작으면 29를 합친다.)
15 + 30 = 45 라 이 45를 6으로 나누면
( 8 + 7 + 30 = 45, 45 / 6 = 7 …… 3)
3이 남으니 7월생 중의 중괘는 3이 되는 것입니다.
[주의] 생월의 월건은 주인공이 태어난 해의 월건이 아니고 신수를 보려는 당년 생월에 해당하는 간지로 계산합니다.

하괘

하괘란 맨 아래( 중괘 옆)에 놓는 숫자로서 생월지간에 매인 숫자에 생일날수를 합쳐 3으로 나눈 나머지 숫자로 나머지가 없으면 3을 취용) 하괘를 놓는 것입니다.

일진의 간
 9876598765
일진의 지
 911881177111010119

예를 들어 계미년 7월 9일 생이면 일의 간지(일진)가 辛亥日이라면
※ 申 7 + 亥 9 + 9 = 25 25 / 3 = 8 …… 1
이상과 같이 계산하면 나머지가 1이니 1을 맨 아래에 놓아 이를 하괘라 합니다.

※ 본문 : 한중수 ( 토정비결 전문가 )
※ 참조 : 토정비결이란 무엇인가. 김중순 ( 서울디지털대학 총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1-2016 ITNAN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