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하늘의 의미
페이지 정보
본문
1) 하늘과 땅(天地)
옛날 동양에서 하늘과 땅이 생긴 모양을 크게 네 가지로 인식하였다.
첫번째로, 하늘은 원, 땅은 사각형의 평면으로 보며, 하늘과 땅이 서로 평행하다고 생각하였다.
두번째로는, 하늘은 원형의 곡면, 땅은 사각형의 평면으로 보아 하늘이 땅을 덮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것을 1차 개천설(蓋天說)이라고 한다.
세번째, 하늘과 땅이 모두 곡면 형태이며, 하늘이 땅을 덮고 있다고 보았다.
네째, 우주의 모습이 새의 알처럼 하늘을 빙 둘러싼 안과 밖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혼천설(渾天設)이다. 혼천설의 우주 구조 모형은 혼천의 등의 천체 관측 도구나 천문 시계에 응용되어 왔다.
2) 일월성신
우주의 대부분은 진공이다. 우주 공간에 드물게 하나씩 떠 있는 항성이나 행성, 소행성 등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아무 것도 없는 공간, 간신히 빛만이 통과하는 진공이다. 이렇게 하늘에서 빛나지 않고 텅 비어 있는 넓은 공간에 대한 관심은 동양이나 서양이나 예로부터 있어 왔다. 우리의 하늘에는 일월성신이 있다. 즉, 해와 달과 별과 신이다.
해는 뜨거운 양의 정수(精髓)이고, 달은 차가운 음의 정수이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