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성씨,가정의례

게시물 검색
전체 588건 2 페이지
  • 한韓
    한韓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1960
  • 달성 하씨(達成夏氏)
    달성 하씨(達成夏氏)

     달성(達成)은 대구(大邱)의 옛  지명으로, 대구(大邱)는 영남지방(嶺南地方)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경상도(慶尙道)의 행정중심지이다. 본래 신라(新羅) 때 달구화현(達句火縣 : 달불성)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대구(大丘)로 고쳐서 수창군(壽昌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조(高麗朝)에 들어와 경산부(京山府)에 이속되었으며 1143년(인종 21) 현령(縣令)을 두었다. 조선(朝鮮) 세종(世宗) 때 대구현(大丘縣)에서 대구군(大丘郡)으로 승격되면서 수성(壽城)을 속현으로 두었고, 1466년(세조 12) 진(鎭)을 설치하여 도호부(都護府)가 되었다. 1750년(영조 26) 대구의 유생 이양채(李亮采)가 구(丘)자는 대성공자(大聖孔子)의 휘(諱)자이므로 이를 개칭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으나 왕의 윤허를 얻지 못했다가 80년대부터 점차 대구(大丘)로 쓰이기 시작했다. 1895년(고종 32) 대구군으로 칭하여 대구부에 속하였고 그 후 대구부를 대구시로 개칭, 1981년 7월 1일을 기해 대구직할시(大丘直轄市)로 승격하였다. 달성 하씨(達成河氏)는 중국(中國) 송(宋)나라의 귀화족(歸化族)으로 전하는데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송(宋)나라에서 대도독(大都督)이었던 하 흠(夏 欽)이란 사람이 고려(高麗) 인종(仁宗) 때 귀화(歸化)하여 달성(達成 : 대구의 옛 지명)에 정착(定着)한 것이 우리나라 하씨(夏氏)의 시원(始原)이라고 한다. 그 후 흠(欽)의 아들 용(溶)이 고려 때 나라에 공(功)을 세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시조(始祖)를 흠(欽)으로 하고 본관(本貫)을 달성(達城)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역사상 주요 인물(人物)로는 흠(欽)의 현손(玄孫) 광신(光臣)이 고려(高麗) 때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하였으며, 혁하(赫河)가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조선조에 와서는 인경(仁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시우(時雨)가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여 가문을 중흥시켰다.
     그 외 정조(正祖) 때의 학자(學者) 시찬(試鑽)은 학행(學行)으로 유명했으며,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여 '열암집(悅庵集)'을 저술했다.
     오늘날에 와서 하씨(夏氏)는 달성(達城)을 단본(單本)으로 하여 경북 달성(慶北達城)·경산 지방(慶山地方)과 경남 밀양(慶南密陽)·강원도 원주지방(江原道原州地方)·전북 순창(全北淳昌)·장수(長水) 지방 등지에서 많이 살고 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달성 하씨(達城夏氏)는 남한(南韓)에 총 713가구, 2,82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83
  • 하河
    하河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1940
  • 대흥 필씨(大興弼氏)
    대흥 필씨(大興弼氏)

     대흥(大興)은 층청남도 예산군에 속한 지명(地名)으로 원래는 백제(百濟)시대의 임존성(任 城)인데, 통일신라의 경덕왕(景德王) 때 임성군(任城郡)으로 개칭하였고, 고려 초에 대흥으로 개칭한 것을 조선 태종 때 군(郡)이 되었다가 1934년 대흥면(大興面)으로서 예산군에 편입되었다. 대흥 필씨(大興弼氏)의 시조는 무과에 급제한 필몽량(弼夢良)이며 전해지는 관향(貫鄕)은 대흥(大興)과 전주(全州) 2본(本)이 전한다.
     대흥 필씨(大興弼氏)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몽량의 후손 두만(斗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부사(府事)의 증손(曾孫) 성뢰(聖 )는 1798년(정조 22)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에 이르렀다.
     한편 성뢰(聖 )는 '동국명신록(東國名臣錄)'에도 올라 있는데, 대대로 함흥(咸興)에 살았다고 적혀 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흥 필씨(大興弼氏)는 남한(南韓)에 총 45가구, 29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141
  • 피皮
    피皮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1871
  • 임구 풍씨(臨 馮氏)
    임구 풍씨(臨 馮氏)

     임구(臨 )는 중국 동부 황해(黃海) 연안에 있는 산동성(山東省)의 현(縣)이다.
     풍씨(馮氏)는 중국 상당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로서,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열 다섯째 아들 필고(畢高)의 후손 필만(畢萬)이 진(晋)나라에서 벼슬을 지내고 위(魏)나라에 봉해졌는데, 이때 식읍(食邑)으로 받은 풍성(馮城)을 성(姓)으로 삼았다고 하며, 백가성씨첩(百家姓氏帖)에는 식읍(食邑)을 풍(馮)에 봉하였는데 자손이 우부방변을 떼어 버리고 풍(馮)으로 성(姓)을 삼았다고 한다.
     우리나라 풍씨(馮氏)의 시원(始原)은 중국의 산동성(山東省) 청주부(淸州府) 임구현(臨 縣) 부정리(富亭里) 출신인 풍삼사(馮三仕)가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청(淸)나라 심양(瀋陽)에 볼모로 와있던 봉림대군(鳳林大君)이 1645년(인조23) 귀국할 때 배종(陪從)하여 내조(來朝)한 9의사(九義士) 중의 한 사람으로, 우리나라에 귀화(歸化)하여 정착 세거(定着世居)하면서 부터이다. 그 후 후손들이 풍삼사(馮三仕)를 이어 시조(始祖)로 하고 본향지(本鄕地)인 임구(臨 )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시조(始祖) 삼사(三仕)의 증손(曾孫) 경문(慶文)이 조선 영조(英祖) 때 어모장군(禦侮將軍)으로 훈련원 주부(訓練院主簿)를 지냈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으며, 경운의 아들 재검(載儉)은 선략장군(宣略將軍), 용양위부사과(龍 衛副司果)를 역임한 후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되어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학조(學祖:재검의 아들)는 용양위부호군(龍 衛副護軍)을 지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임구 풍씨(臨 馮氏)는 남한에 총 112가구, 44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398
  • 표表
    표表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1825
  • 포씨(包氏)
    포씨(包氏)

     포씨(包氏)는 중국 상당(上黨:산서성 기령도 노성헌 노안부의 진나라 때 명칭)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로 주(周)나라 신백(申伯)의 후예인 신포서(申包胥)의 후손들이 이름자(字)를 성(姓)으로 삼은 것이 성원(姓源)을 이루게 되었다.
     그 후 한(漢)나라 곡아인(曲阿人)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역임했던 포 함(包 咸)과 남북조(南北朝) 때 송(宋)나라 전첨(典籤)을 지냈던 포법영(包法榮)이 사기(史記)에 나타난 인물들이며 당(唐)나라 덕종(德宗:제9대황제, 재위기간 : 780 ~ 804) 때 염철사( 鐵使)를 역임했던 포 길(包 佶)은 윤주(潤州)에 있는 연릉(延陵)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 포씨(包氏)의 연원(淵源)은 이를 고증(考證)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상고(詳考)할 수 없고, 문헌에 전해지는 본관으로는 풍덕(豊德)과 순천(順天) 두 본(本)이 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포씨(包氏)는 남한에 총 91가구 238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021
  • 충주 평씨(忠州平氏)
    충주 평씨(忠州平氏)

     충주(忠州)는 충청북도(忠淸北道) 중원군(中原郡)의 중앙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고구려(高句麗) 때 국원성(國原城) 또는 미을성(未乙省), 완장성( 長城), 탁장성(託長城) 등으로 불리우다가 신라에 병합되어 진흥왕(眞興王: 제24대왕, 재위기간:534-576) 때 소경(小京)을 두었고, 경덕왕(景德王) 때 중원경(中原京)으로 고쳤다. 940년(고려태조23) 충주(忠州)로 개칭하고 뒤에 창화군(昌化郡)이라 하여 중원도(中原道)라 칭하다가 고종(高宗) 때 국원경(國原京)이 되었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유신현(維新縣)으로 부르다가 선조(宣祖) 즉위년에 다시 충주(忠州)로 환원되었다. 그 후 많은 변천을 거쳐 고종때 20군(郡)을 다스리는 부(府)가 되었다가 1956년 충주면(忠州面) 일원은 충주시(忠州市)가 되었고 나머지는 중원군(中原郡)으로 고쳤다.
     평씨(平氏)는 중국 여남(汝南)에서 계출(系出)된 성씨(成氏)로서, 한(漢)나라 성제(成帝)때 평릉인(平陵人) 평 당(平 當)이 도위(都尉)를 지냈고, 식읍(食邑)의 지명을 성(姓)으로 삼은 것이 시초(始初)가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 평씨(平氏)의 연원(淵源)은 문헌(文獻)이 전(傳)하지 않아 정확히 상고(詳考)할 수 없으나, 931년(고려 태조14) 평 환(平 喚) 이라는 사람이 강덕진두(康德鎭頭)가 되었다는 기록이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나타나 있다.
     평씨(平氏)의 본관(本貫)은 충주(忠州), 인주(仁州), 예산(禮山), 가흥(嘉興), 평원(平原)등 6본(本)이 있으나, 모두가 동원분파(同源分派)인 것으로 추정된다.
     충주평씨(忠州平氏)의 시조(始祖)는 평우성(平友聖)으로 조선 인조(仁祖)와 선조대(宣祖代)의 사람이다. 우성의 아들 종현(宗鉉)이 호 조판서(戶曹判書)를 지냈으며 그 외의 인물로는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한 귀욱(貴郁)과 부사과(副司果) 왕손(旺孫), 주부(主簿) 경신(景臣) 등이 가문을 빛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충주 평씨(忠州平氏)는 남한에 총 116가구, 454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104
  • 절강 편씨(浙江片氏)
    절강 편씨(浙江片氏)

     절강(浙江)은 중국(中國) 동남부(東南部) 동해(東海) 연안에 위치하여 양자강(楊子江) 하류의 남부를 점하고 있으며 전당강(錢塘江)에 의하여 동서(東西)로 나누어져 항주(杭州)를 성도(省都)로 하고 있다. 편씨(片氏)는 중국(中國) 당(唐)나라 종실(宗室)의 후손으로 본래 남송(南宋)때 현유(賢儒)인 이 동(李  )의 8대손 이 지(李 址)가 명조(明祖)때 한림원 태학사(翰林院太學士)로서 일편단심(一片丹心) 충간(忠諫)의 공으로 편씨(片氏)를 사성(賜姓)받았다. 우리나라 편씨(片氏)의 연원(淵源)은 편 지(片 址)의 현손(玄孫)인 편갈송(片碣頌)이 임진왜란 때 명군(明軍) 이여송(李如松)휘하의 군무총병 유격장(軍務總兵 遊擊將)으로 들어와 평양(平壤)에서 전공(戰功)을 세우고 귀국하였다가,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선조(先祖)로부터 노고를 치하하는 친서를 받았으며, 당시 본국의 어지러운 소식을 듣고 환국을 단념한 뒤 경주 금오산(慶州金鰲山)에 은거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본국의 아들, 풍세(豊世), 풍원(豊源), 산보(山甫) 3형제가 금오산으로 와서 아버지를 봉양하다가 갈송(碣頌)의 상(喪)을 당하자 삼년간 시묘(侍墓)한 후 경주를 떠나 풍세(豊世)와 풍원(豊源)은 나주(羅州)에, 산보(山甫)는 만경(萬頃)에 정착세거(定着世居)하며 편갈송(片碣頌)을 시조(始祖)로 하고 선향(先鄕)인 절강(浙江)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게 되었다.
     편씨의 가계(家系)는 나주(羅州)에 뿌리를 내린 풍세(豊世)가 슬하에 아들 성대(成大)와 문수(文秀)를 두었으며, 풍원(豊源)은 응복(應福), 한정(漢鼎), 영표(永標) 3형제를, 만경(萬頃)에 정착한 산보(山甫)는 외아들 순당( 堂)을 두어 이들의 자손대에서 크게 번성하였다.
     역사상 뛰어난 인물로는 고종(高宗)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전주 중군(全州中軍)을 지낸 기진(沂珍)과 정평부사(定平府使) 좌언(佐彦)이 있으며 독립운동가로 명성을 날린 강렬(康烈), 덕렬(德烈)이 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절강편씨(浙江片氏)는 남한에 총 2,607가구,
    10,90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3041
  • 편씨(扁氏)
    편씨(扁氏)

     편씨(扁氏)는 성원(姓源)을 고증(考證)할 문헌(文獻)이 전하지 않아 선계(先系)와 소목(昭穆)을 상고(詳考)하지 못하며, 전해지는 본관(本貫)은 희천(熙川:평안북도 남동쪽에 위치하는 군) 단본(單本)이다.
     우리나라 편씨(扁氏)는 1930연도 국세조사(國稅調査)당시 충북 옥천(忠北沃川)에 1가구가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에 총 68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012
  • 팽彭
    팽彭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1844
  • 해주 판씨(海州判氏)
    해주 판씨(海州判氏)

     해주(海州)는 황해도 남해안 중앙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 때 내미홀(內米忽)인데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폭지(瀑池)로 고쳤고, 고려 태조(太祖)가 본군의 남쪽이 대해(大海)에 임해 있다고 하여 해주로 개명하였다. 성종(成宗) 때 별호(別號)로 대령(大寧), 서해(西海)등으로 불리웠고, 현종(顯宗) 때 해주안서도호부(海州安西都護府)를 두었다가 예종(睿宗) 때 대도호부(大都護府)로 승격, 조선 세종(世宗) 때 진(鎭)을 설치하였다. 광해군(光海君) 때 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부(府)가 되어 16군(郡)을 다스렸으며, 1913년 군이 되었고 1938년 부(府)로 승격, 해방과 더불어 시(市)로 승격되었다. 해주 판씨(海州判氏)의 선조(先祖)는 고려 말엽(高麗末葉)에 충신(忠臣)으로서 왕을 보필하는 관직(官職)에 있었으나 간신배(奸臣輩)의 모함을 받아 반역의 누명을 쓰고 피화(被禍)되어 강화도(江華島) 근처의 섬으로 유배(流配) 도중에 풍파(風波)를 만나 배가 파선(破船)이 되어 표류(漂流)하다가 구사일생으로 한강(漢江) 하류에 있는 밤섬에 표착(漂着)하여 그 곳에 정착(定着)하게 되었다고 한다.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살고 있는 판영호(判榮鎬)씨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마포구 율도동(栗島洞:밤섬)에 살고 있었던 사손(嗣孫) 판봉석(判鳳石)이란 사람이 대대로 세전(世傳)되어 오던 보첩(譜牒)을 보관하다가 1925년 대홍수(大洪水)로 밤섬 전역이 침수되었을 때 유실(流失)하여 선계(先系)를 실전(失傳)하였다고 하며, 밤섬에 살고 있었던 후손들은 정부시책에 따라 1967년도에 마포구 와우산 중턱에 옮겨 살다가 점차 전국 각처로 이사를 가고 지금은 몇가구 남지 않았다. 근대에 와서 해주 판씨(海州判氏)는 처음 밤섬에 정착했던 선조의 휘자(諱字)를 판해율(判海栗)로 존모(尊慕)하고, 전국에 흩어진 성손(姓孫)들이 대동단결(大同團結)하여 족보(族譜) 편찬을 서두르고 있다.
     1930년도 국세조사(國稅調査) 당시 서울과 고양군(高陽郡)를 비롯한 북한 지역에 20여 가구가 살고 있었으며,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에 총59가구, 238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025
  • 태太
    태太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1958
  • 탄씨(彈氏)
    탄씨(彈氏)

     탄씨(彈氏)의 성원(姓源)과 선계(先系)에 대한 소목(昭穆)은 고증(考證)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상고(詳考)할 수 없다. 그러나 구한말(舊韓末) 무관학교(武官學校)에 탄원기(彈元基)라는 교관(敎官)이 있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비교적 오래된 성씨(姓氏)로 추정되며, 문헌에 전해지는 본관(本貫)은 해주(海州), 진주(晋州) 두 본이 있다.
     1930년 국세조사(國勢調査) 당시 탄씨(彈氏)는 경기도(京畿道)와 강원도(江原道) 등지에 7가구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에 94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333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1-2016 ITNAN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