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진주 동방씨(晋州東方氏)
페이지 정보
본문
진주 동방씨(晋州東方氏)
진주(晋州)는 경상남도 남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百濟)의 거열성(居烈城)인데 신라(新羅) 문무왕(文武王:제30대 왕, 재위기간:661∼681) 때 신라의 영토가 되어 거열주(居烈州)라 하였고, 757년(경덕왕 16) 9주5소경제(九州五小京制)의 실시와 함께 강주(康州)로 고쳤다가 뒤에 청주(靑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에 다시 강주로 환원하였고, 995년(성종 14)에 진주(晋州)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된 뒤 조선조에 와서는 진양도호부(晋陽都護府)가 되기도 하였으나 진주목(晋州牧)으로서 서부 경남 일대를 관할하였다. 그 후 여러 변천을 거쳐 1949년에 진주시(晋州市)가 되었다.
동방씨(東方氏)는 중국 제남(濟南:지금의 산동성 역성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이며, 고대 복희씨(伏羲氏)가 동방의 진(震) 땅에서 나왔다고 하여 동방(東方)을 성(姓)으로 삼은 것으로 전한다.
우리나라 동방씨(東方氏) 연원(淵源)은 고증(考證)할 문헌(文獻)이 없어 상고(詳考)하지 못하며, 전해지는 본관(本貫)으로는 진주(晋州)와 청주(淸州)가 있으나 시조가 분명하지 않다. 진주 동방씨(晋州東方氏)는 중시조(中始祖)로 알려진 동방 숙(東方淑)이 1792년(정조 16) 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냈다.
1930년도 국세조사(國勢調査) 당시 60여 가구 중 50가구가 평안북도에 살고 있었으며 1960년 국세조사 때는 95명으로 집계되었고,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에 총 41가구, 174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주(晋州)는 경상남도 남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百濟)의 거열성(居烈城)인데 신라(新羅) 문무왕(文武王:제30대 왕, 재위기간:661∼681) 때 신라의 영토가 되어 거열주(居烈州)라 하였고, 757년(경덕왕 16) 9주5소경제(九州五小京制)의 실시와 함께 강주(康州)로 고쳤다가 뒤에 청주(靑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에 다시 강주로 환원하였고, 995년(성종 14)에 진주(晋州)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된 뒤 조선조에 와서는 진양도호부(晋陽都護府)가 되기도 하였으나 진주목(晋州牧)으로서 서부 경남 일대를 관할하였다. 그 후 여러 변천을 거쳐 1949년에 진주시(晋州市)가 되었다.
동방씨(東方氏)는 중국 제남(濟南:지금의 산동성 역성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이며, 고대 복희씨(伏羲氏)가 동방의 진(震) 땅에서 나왔다고 하여 동방(東方)을 성(姓)으로 삼은 것으로 전한다.
우리나라 동방씨(東方氏) 연원(淵源)은 고증(考證)할 문헌(文獻)이 없어 상고(詳考)하지 못하며, 전해지는 본관(本貫)으로는 진주(晋州)와 청주(淸州)가 있으나 시조가 분명하지 않다. 진주 동방씨(晋州東方氏)는 중시조(中始祖)로 알려진 동방 숙(東方淑)이 1792년(정조 16) 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냈다.
1930년도 국세조사(國勢調査) 당시 60여 가구 중 50가구가 평안북도에 살고 있었으며 1960년 국세조사 때는 95명으로 집계되었고,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에 총 41가구, 174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