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아씨(阿氏)
페이지 정보
본문
아씨(阿氏)
아씨(阿氏)는 동진(東晉)의 안제(安帝:제10대 왕, 재위기간:397-418) 때 사람인 아부간(阿簿干)의 후손으로 전하며, 「삼국유사(三國遺事)」등 사서(史書)에 역사적인 인물로 나온다.
6세기 초엽 신라(新羅)에 초청되어 황룡사(皇龍寺) 9층탑을 세운 백제(百濟)의 아비지(阿非知), 근초고왕(近肖古王) 때의 학자로 일본(日本)에 한학(漢學)을 전한 아직기(阿直岐) 등인데 그들의 성씨(姓氏)가 아(阿)자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를 보면, 고려(高麗) 태조(太祖) 원년(元年)에 상주(尙州)의 호족(豪族) 아자개(阿字蓋)가 고려에 내부(內附)하여 상주(尙州)에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자개(字蓋)는 견훤(甄萱)의 아버지로서 본성(本姓)이 이씨(李氏)이다.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전남(全南)에 20가구, 경남(慶南)에 9가구 등 모두 35가구가 있었고,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南韓)에 총 70가구, 31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씨(阿氏)는 동진(東晉)의 안제(安帝:제10대 왕, 재위기간:397-418) 때 사람인 아부간(阿簿干)의 후손으로 전하며, 「삼국유사(三國遺事)」등 사서(史書)에 역사적인 인물로 나온다.
6세기 초엽 신라(新羅)에 초청되어 황룡사(皇龍寺) 9층탑을 세운 백제(百濟)의 아비지(阿非知), 근초고왕(近肖古王) 때의 학자로 일본(日本)에 한학(漢學)을 전한 아직기(阿直岐) 등인데 그들의 성씨(姓氏)가 아(阿)자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를 보면, 고려(高麗) 태조(太祖) 원년(元年)에 상주(尙州)의 호족(豪族) 아자개(阿字蓋)가 고려에 내부(內附)하여 상주(尙州)에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자개(字蓋)는 견훤(甄萱)의 아버지로서 본성(本姓)이 이씨(李氏)이다.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전남(全南)에 20가구, 경남(慶南)에 9가구 등 모두 35가구가 있었고,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南韓)에 총 70가구, 31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