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성씨,가정의례

게시물 검색
전체 588건 6 페이지
  • 담양潭陽 이씨(李氏)
    담양潭陽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35
  • 남평南平 이씨(李氏)
    남평南平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34
  • 상주商州 이씨(李氏)
    상주商州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33
  • 안성安城 이씨(李氏)
    안성安城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33
  • 부평富平 이씨(李氏)
    부평富平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29
  • 양주楊州 이씨(李氏)
    양주楊州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26
  • 우봉牛峰 이씨(李氏)
    우봉牛峰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26
  • 여주驪州 이씨(李氏)
    여주驪州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20
  • 부여扶餘 이씨(李氏)
    부여扶餘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13
  • 성산星山 이씨(李氏)
    성산星山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13
  • 덕산德山 이씨(李氏)
    덕산德山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11
  • 소주 가씨(蘇州 賈氏)

    소주 가씨(蘇州 賈氏)

     소주(蘇州)는 중국(中國) 강소성(江蘇省) 남동부 태호(太湖) 동안(東岸)에 위치한 고장으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일찍이 춘추전국 시대에 오(吳)나라의 국도(國都)로 발전하였고, 역대에 걸쳐 주변지역의 행정중심지로 알려진 곳이다.

     가씨(賈氏)는 소주(蘇州)를 단본으로 하며 중국(中國) 주(周)나라 문무(文武)의 후예(後裔)로서 명(明)나라 신종(神宗)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계요안찰사를 지낸 가유약을 시조(始祖)로 하고 있다. 문헌에 의하면,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해인 서기 1593년(선조 26)에 신종(神宗)의 명으로 원병을 이끌고 이여송(李如松), 마 귀(麻 貴)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와 안주(安州) 등지에서 왜군과의 싸움에 공(功)을 세우고 돌아갔다. 

     그후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유격장군(遊擊將軍)인 아들 상(祥)과 병부 종사관(兵部從事官)인 손자(孫子) 침(琛)을 데리고 다시 조선(朝鮮)에 들어와, 소사(素沙 : 지금의 부천), 남원(南原) 등지의 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부산(釜山) 포구(浦口)의 싸움에서 용전(勇戰)하던 중 아들 상(祥)과 함께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손자 침(琛)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시신을 거두고 경남 울산 서생진 도독동(慶南  蔚山 西生鎭 都督洞) 양지 바른 곳에 무덤을 만들었다. 
     전쟁이 끝나서 명(明)나라 원병이 본국으로 돌아갈 때 도독(覩督) 마 귀(麻 貴)가 침(琛)에게 함께 귀국할 것을 권유했으나,그는 “조부(祖父)와 부친(父親)의 묘를 두고 어찌 이 곳을 떠나겠느냐”하며 조선에 귀화하여 조상(祖上)의 무덤이 있는 울산(蔚山)에 자리잡아 안동 부사(安東府使) 권 순(權 純)의 딸과 혼인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
     1647년(인조 25) 침(琛)이 죽자 슬하의 아들 성(晟), 호(昊), 병(昺), 수(遂) 4형제는 충남(忠南) 서산(瑞山)으로 자리를 옮겨 우리나라 가씨(賈氏)의 터전을 이루었으며, 1851년(철종 2)에는 시조(始祖) 유약과 아들 상(祥), 손자 침(琛) <삼대(三代)의 충효(忠孝)>를 기리는 사당(祠堂)과 정문(旌門)이 서산(瑞山) 가씨(賈氏) 마을에 내려졌다. 

     그후 가씨는 서산(瑞山)을 중심으로 한 충남 일대에서 충효(忠孝)의 전통을 이어오면서 가문(家門)이 크게 번성하였고,시조 유약의 14세손 행건(行健)이 헌종(憲宗) 때 충청도 안흥 양진(忠淸道安興梁鎭)의 수군 병마절제사(水軍兵馬節制使)를 지내며 천성이 어질어 <도덕군자(道德君子)>라는 칭송이 높았다. 
     그의 아들 일영(日永)도 철종(哲宗) 때 울진 현령(蔚珍縣令) 등을 지내며 벼슬이 높았고, 선정을 베풀어 그가 울진을 떠나올 때 군민들이 암벽을 갈아 그의 공적을 새겼다고 하는 <마애비(磨崖碑)>가 지금도 전한다. 일영(日永)의 아우인 중영(中永)은 철종(哲宗) 때 충량과(忠良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고종(高宗)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으며, 14세손 익건(翊健)은 1866년(고종 3)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했을 때 의병을 일으켰다. 

     그외 한말(韓末)과 일제(日帝) 침략기에 선조(先祖)의 뜻을 이어 나라에 충성한 인물로는 의영(義永)과 병준(秉俊)의 부자(父子)가 유명했다. 
     후덕(後德)하고 자선심(慈善心)이 많기로 이름났던 이들 부자는 사재(私財)를 털어 가난한 이웃을 구제하는 등 사회사업에 공헌했으며, 호서(湖西) 일대의 한학자(漢學者)로 학명을 떨쳤던 형로(衡魯)는 항일투쟁에 헌신하여 일경(日警)으로부터 주목(注目)받는 대상이 되었다. 
    신, 구(新, 舊) 학문과 사학(史學)에 정통했던 병준(秉峻)은 서산에 농림중학교(農林中學校)를 설립하여 영재교육(英才敎育)을 통한 광복운동과 농사개량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지대하여 면민(面民)이 송덕비(頌德碑)를 세웠으며, 시조의 18세손 재연(在衍)은 인천상고 재학시와 은행원 신분으로 항일투쟁에 앞장섰다가 옥고로 순국했다. 

     민족계몽 중 일본 헌병의 목을 베려 했던 정로(晶魯:시조의 17세손)와 사재를 털어 임시정부를 지원했던 재창(在昌)도 애국애족의 정신으로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정로(廷魯)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 예산(禮山), 서산(瑞山), 공주(公州)의 군수(郡守)를 지내며 한국민주행정의 기틀을 마련하여 충절의 정통가문인 소주 가씨를 더욱 빛나게 하였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소주 가씨(蘇州 賈氏)는 남한(南韓)에 총 1,783가구, 7,888 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10
  • 해주,태인 경씨(海州.泰仁 景氏)
     태인(泰仁)은 전라북도(全羅北道) 정읍군(井邑郡)에 속해있는 지명(地名)으로 신라시대(新羅時代)의 태산(泰山 : 대산 또는 대시산이라고도 함)과 고려(高麗)의 인의(仁義)를 합한 명칭(名稱)이다.
      우리나라 경씨(景氏)는 중국(中國) 진양(晋陽 : 태원을 달리 일컫는 말)의 초(楚)나라 공족(公族 : 왕공의 동족, 왕족)에 연원(淵源)을 두고 있으며, 은(殷)나라 현인(賢人) 기자(箕子)를 호종(扈從)하여 동래(東來)해 온 경여송(景汝松)이 평양(平壤)에 정착(定着) 함으로써 문호(門戶)가 열렸다고 한다. 
     경씨(景氏)의 본관(本貫)은 태인(泰仁)과 해주(海州)를 비롯하여 충주(忠州), 경주(慶州), 밀양(密陽), 장연(長淵), 치등(置等 : 전북 순창지방), 능향(綾鄕 : 전북 태인지방), 복흥(福興 : 전북 장수지방)등 10여 개의 관향(貫鄕)이 있는 것으로 전(傳)하나 태인(泰仁)과 해주(海州)를 제외한 본관(本貫)은 미상(未詳)이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고려조(高麗朝)에서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 왕명의 출납, 숙위, 군기 등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종2품 벼슬)를 지내고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라  태산군(泰山郡)에 봉해진 경 차(景 磋)를 시조(始祖)로 하고, 사공(司空)을 역임한 상조(祥祖 : 예정의 맏아들)를 태인파(泰仁派)로,좌복야(左僕射)를 지낸 상록(祥祿 : 예정의 차남)을 해주파(海州派)로 하여 가계(家系)를 이어오면서 고려말(高麗末)과 조선전기(朝鮮前期)에 걸쳐 무용(武勇)을 떨침으로써 가문(家門)의 성세(盛勢)를 이루었다. 
     특히 제조(提調 : 각 사, 또는 청의 관제상의 우두머리가 아닌 사람에게 그 관청의 일을 다스리게 하던 동 1, 2품의 관원)를 지낸 훤(喧)의 아들 세정(世貞)은 활을 잘 쏘아 명성을 날렸고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와 경기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하면서 나라에 공훈(功勳)을 세워 시산군(詩山君)에 봉해졌으므로 아들 일창(日昌 : 수문전 태학사를 지냄)과 함꼐 이름을 떨쳤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 희(曦)는 벼슬이 태학사(太學士 : 조선 때 홍문관 대제학을 달리 일컫던 말)에 이르러 치사(致仕)했다.
     한편 응순(應舜)은 통사(通事)로서 임진왜란 때 활동하다가 왜군(倭軍)에게 죽음을 당했고, 기(耆)는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堤學 :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는 일을 맡아보던 정2품 벼슬)을 서쳐 시산군(詩山君)에 봉해졌다. 그 밖의 인물(人物)로는 첨의평리(僉議評理)를 거쳐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한 인(寅)과 현감(縣監)을 지낸 극중(克中), 시행(時行 : 어사 청의 아들), 세성(世誠 : 거륜의 아들) 등이 유명했으며, 흔(昕)은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여 판관(判官)을 지낸 덕윤(德潤)과 함께 가문(家門)의 전통(傳統)을 이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경씨(景氏)는 남한(南韓)에 총 885가구, 3,69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08
  • 광주廣州 이씨(李氏)
    광주廣州 이씨(李氏)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05
  • 임구 풍씨(臨 馮氏)
    임구 풍씨(臨 馮氏)

     임구(臨 )는 중국 동부 황해(黃海) 연안에 있는 산동성(山東省)의 현(縣)이다.
     풍씨(馮氏)는 중국 상당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로서,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열 다섯째 아들 필고(畢高)의 후손 필만(畢萬)이 진(晋)나라에서 벼슬을 지내고 위(魏)나라에 봉해졌는데, 이때 식읍(食邑)으로 받은 풍성(馮城)을 성(姓)으로 삼았다고 하며, 백가성씨첩(百家姓氏帖)에는 식읍(食邑)을 풍(馮)에 봉하였는데 자손이 우부방변을 떼어 버리고 풍(馮)으로 성(姓)을 삼았다고 한다.
     우리나라 풍씨(馮氏)의 시원(始原)은 중국의 산동성(山東省) 청주부(淸州府) 임구현(臨 縣) 부정리(富亭里) 출신인 풍삼사(馮三仕)가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청(淸)나라 심양(瀋陽)에 볼모로 와있던 봉림대군(鳳林大君)이 1645년(인조23) 귀국할 때 배종(陪從)하여 내조(來朝)한 9의사(九義士) 중의 한 사람으로, 우리나라에 귀화(歸化)하여 정착 세거(定着世居)하면서 부터이다. 그 후 후손들이 풍삼사(馮三仕)를 이어 시조(始祖)로 하고 본향지(本鄕地)인 임구(臨 )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시조(始祖) 삼사(三仕)의 증손(曾孫) 경문(慶文)이 조선 영조(英祖) 때 어모장군(禦侮將軍)으로 훈련원 주부(訓練院主簿)를 지냈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으며, 경운의 아들 재검(載儉)은 선략장군(宣略將軍), 용양위부사과(龍 衛副司果)를 역임한 후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되어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학조(學祖:재검의 아들)는 용양위부호군(龍 衛副護軍)을 지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임구 풍씨(臨 馮氏)는 남한에 총 112가구, 44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자최고관리자 시간 02-03 조회 2402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1-2016 ITNANUM. All Rights Reserved..